[산업일보]
1933년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연설에서 'First 100 days'동안 의회의 협조를 얻어 미국 재건을 위해 힘쓰겠다며 여러 법안들을 통과시킨 이후, 미국 정치에서 대통령의 첫 100일은 새 대통령이 소신껏 자신의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기회이자 향후 4년 간의 정책 방향을 투영해주는 중요한 행보로 여겨진다.
하나금융투자 ‘바이든의 D+100일이 원유시장에 중요한 이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일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은 7일간 30여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빠른 속도다. 주로 코로나19 대응, 경제, 이민,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 관련 정책들이 우선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특히 환경/에너지 부문에서는 대체로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행정명령으로 처리했던 정책 뒤집기가 이뤄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절차를 밟는 행정명령을 내렸고, 캐나다 원유를 미국으로 수송하는 키스톤 XL 송유관 사업에 대한 허가를 철회했다. 또한 환경과 관련된 100개 이상의 트럼프 전 대통령 정책을 검토하고 되돌리도록 지시했다.
연이어 27일에는 본격적으로 친환경 정책들을 내놓으면서 연방토지의 신규 임대를 금지했다. 연방토지에서의 원유 생산은 미국 전체 생산량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는데, 기 허가 토지에서의 시추는 제한되지 않고 새로운 허가가 금지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기존 당사의 전망처럼 생산량의 약 3~4% 가량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
다만 셰일 유전의 짧은 수명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는 기존 임대지역에서의 시추량이 줄어들며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줄어들 수 있다.
하나금융투자의 전규연 연구원은 “IEA는 코로나19 재확산과 봉쇄조치를 근거로 2021년 세계 원유 소비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며,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원유 소비량은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겠지만, 경기 회복을 위한 전제 조건이 많고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전 연구원은 “사우디의 자발적 감산과 OPEC+의 높은 감산 이행률(12월 99%), 그리고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 폭이 제한될 수 있는 점 모두 국제유가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지목하면서 “향후 미국의 원유 생산량을 내다보기 위해 바이든의 첫 100일 행보를 관심 있게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