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국이 호주와의 정치적 이슈로 석탄 수입이 감소하고 에너지 수요 증가가 맞물려 석탄, 천연가스 가격이 연일 급등하고 있다. 여기에 발전사들의 출력 저하까지 겹쳐 전력대란이 지속되는 중이다. 가스 가격 급등도 미국 허리케인, 유럽 재생에너지 이용률 하락, 석탄수급 등 여러 이슈가 겹쳐 발생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의 ‘中 전력대란의 지속 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6년부터 석탄 수요 억제를 위해 탄광의 조업일을 276일로 제한하는 규제를 도입했으며 노후 석탄 광산 폐쇄(8억 톤)도 추진해 생산량을 39억 톤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 수요는 42억 톤 수준을 유지해 수입량 증가, 가격 급등을 초래하고 있다. 수입량은 총 3억4천만 톤(인도네시아 1억4천만 톤, 호주 8천만 톤 등)으로 수입 의존도는 10% 미만을 기록 중이다.
2020 년 6월 이후 호주산 석탄 수입량 감소가 이어져 상반기 기준 전년대비 수입량이 20% 감소했으나 자국 생산 확대를 다시 허가하면 만회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인다.
8월 발개위의 석탄 생산 확대 정책이 발표됐고, 생산이 중단됐던 내몽고 노천 광산 토지 이용 절차 승인, 운영기간이 만료된 탄광의 생산재개가 본격화 될 시 전력대란 이슈도 해소될 것이라는게 업계의 판단이다.
한편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최근 자국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의 에너지 공급 방안으로 석탄 생산능력 제한 해제, 수입 확대, 천연가스 증산, 중앙 아시아 PNG 도입의 안정적인 확보와 발전 및 난방용 석탄의 장기 계약을 늘리고 계절별 가스 계약 추진 등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다가오는 동절기 전력 공급에 대해서는 ‘1차 에너지가격 상승이 원활히 전가될 수 있도록 발전단가를 합리적으로 책정해 전력시장 가격의 정상적인 변동을 통해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하고 기업체 가동 중단 가능 부하(Load) 규모 파악 및 합리적인 수요 관리 병행이 이뤄지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