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사이버 기본 법안’에 대한 개선 방향과 신기술의 보안위협,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융합 보안 상황 등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실천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보안학회는 9일 육군회관 연제근홀과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보안 위협과 국가 대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국토연구원 김익회 박사는 신기술에 대한 보안위협과 대책을 대주제로 스마트시티 신기술의 보안위협과 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스마트 시티의 다양한 정의 중 ‘4차 산업혁명의 혁신 성장 동력 기술들의 실증 공간’임을 강조한 김 박사는 “기존 도시계획이 장기적으로 대규모 재원을 투자해 인력 확대 및 물리적 기반시설 등을 추가 건설하는 방식이었다면 스마트 시티는 필요한 곳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투자 대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 시티 통합플랫폼이 다양한 도시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운영센터의 핵심기술로 112 및 119 정보연계가 핵심이지만, 통합플랫폼이 CCTV 영상 중심으로 공유되고 도시 데이터의 공유차원에서 활성화 되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R&D사업과 함께 ‘데이터 허브’라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 시티 혁신모델을 개발하고 실증, 구현하고 있으나 아직 시작 단계인 상황이다.
김 박사는 스마트 시티 시설의 보안 관리 유형에 대해 관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물리적 보안 관리 유형이 있음을 설명하며 "스마트시티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CCTV 영상을 관제하는 요원들에 대한 보안 관련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스마트 시티 시스템 구축 시 오기를 방지하고, 유관기관의 무원을 파견해 데이터 유출 여부를 함께 판단할 수 있는 조직적 체계가 필요하며 대두되는 기술적 보안 이슈에 대해 엣지 컴퓨터들에 대한 물리적, 기술적 해킹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