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미래차 기술 개발이 속도를 더하면서 상용화 수준의 기술이 확보되면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하겠다는 게 국내 전략이다. 이 가운데 농기계 산업으로의 관련 기술 확보 및 시장 형성을 위해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 25일 발표한 ‘농기계 산업으로 확대되는 미래차 기술’ 보고서에서 이같이 제언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농업 생산성 개선 및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농기계에 대한 미래차 기술의 적용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농기계에 자율주행·전동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노동 집약적인 농업의 생산성을 근본적으로
제고하고 농산물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여 친환경 농업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농기계 시장은 2021년 994억불 규모로 트랙터와 수확기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연평균 4% 성장해 2027년에는 1천260억불에 도달할 전망이다. 국내 농기계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2천3백조 원 수준으로 추산되며 농가 인구 고령화, 영농 규모 부족 문제가 지속됨에 따라 농기계 도입 확대를 통한 시장 성장 동력을 보유, 지속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농기계 자율주행은 작업환경 인식 및 최적 경로 생성·추종이 핵심으로 레벨 2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레벨 2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고, 국내 기업들은 내년부터 상용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전략본부의 양재완 선임연구원은 본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운행을 목표로 하는 자동차와 달리 농기계는 다양한 동력 전달 작업이 주가 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크다”며 “그렇기 때문에 포크레인과 같은 내연기관 기반 동력 인출장치인 PTO(Power Take-Off)의 경우 이를 전동화시킨 e-PTO 적용 등 충분한 용량의 배터리 탑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도심만큼 충전소도 충분하지 않을 환경에 대비해야 작업이 수월할 것”이라 덧붙였다.
특히 강조되는 안전성 면에서는 “해외는 경작을 주로 하는데, 국내는 벼농사가 많아 수분 유입에 따른 합선 문제 대비가 필요하다는 업계 관계자들 의견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 더불어 “미래 농기계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한 지원책 등을 고민해야 한다”며 “기차 구매시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것처럼 농기계에 대해서도 이같은 지원책이 있다면 판매량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