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우리가 해외 땅을 밟으려면 종종 체류 허가 증명을 위해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데요.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이 해외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 인증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현재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개별적으로 해외인증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각 나라 표준화에 맞춰 해외인증을 취득해야만 수출을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지난달 해외 인증 종합 지원 전략을 마련해 추진 중에 있는데요. 이를 통해 수출 장벽 애로사항을 해소하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에서 열린 ‘한·중 B2C 물류와 중국 인증 활용방안’ 설명회에서 해외인증지원단 이민호 팀장은 수출바우처사업,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 사업 등을 통해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통합적 해외 진출 정보를 기반으로 수출 및 인증 획득에 대한 자료 및 데이터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팀장은 "해외인증 정보 부족으로 기업 수출에 앞길 막는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경쓰겠다"라고 약속한 만큼, 한국 기업의 원활한 수출 활동이 기대됩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