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신재생에너지원 중 하나인 해상 풍력 기술의 경우 풍력 발전에 필요한 장비 운용에서부터 전력의 실용화에 필요한 분해 기술까지 다양한 기술이 복합돼야 최대한의 효율을 이끌어낼 수 있다.
벨기에에 본사를 둔 베카르트(Bekaert)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주한 벨기에 대사관 주최로 ENVEX 2024의 공식 부대행사로 열린 ‘해상 풍력 기술의 날’ 행사에서 해상 풍력 기술과 관련한 자사의 기술을 소개했다.
부유식 해상 풍력 산업을 위한 합성섬유 무어링 로프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라이던-베카르트를 대표해 발표자로 나선 크리스토프 다윈가드(Christof Dewijngaert) 총괄담당은 ‘무어링 솔루션’에 대해 언급했다.
스틸와이어 및 합성 섬유 로프 분야에서 300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한 베카르트의 크리스토프 다윈가드 총괄담당은 “해상 풍력과 관련된 모든 접근은 기존의 'Oil & Gas' 기반의 사고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유식 해상 풍력의 경우 심해로 들어갈수록 어렵기 때문에 합성 로프로 구성되며, 부유식 장비와 앵커에 새로운 시스템을 사용해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며 심해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고 말한 뒤 “베카르트는 단순 제조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의 패키지화를 통해 솔루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5개 이상의 플랫폼 타입을 보유하고 있는 베카르트는 친환경 방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는 ‘규모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크리스토프 다윈가드 총괄담당은 “그동안 베카르트의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성공적으로 계류하는 부유식 풍력 시스템에 제품들이 연동돼 있다”며, “특히, 부력을 이용하더라도 체인이나 로프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부력이 상호작용해 비용이 절감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베카르트의 수전해 관련 기술을 소개하기 위해 나선 김재헌 팀장은 ‘PEM 수전해 소재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베카르트는 전해 관련 부품도 제공하고 있으며, 수소연료공급을 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고 있다”고 말한 김 팀장은 “특히, 유체역학의 성과가 꾸준히 개선되고 귀금속을 이용한 촉매를 줄이면서 효율성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베카르트는 메탈파이버를 이용해 사람의 머리카락보다 더 가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용량이나 규모, 다양한 지역에서의 생산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는 생산량도 확대되고 있다.
“전해조 시스템은 용량을 줄이기 위해 촉매를 줄이거나 밀도를 높이는 등의 요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촉매의 입자를 보호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보호코팅도 필요하다”고 말한 그는 “코팅을 통해 전기 저항과 면적을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