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래픽뉴스] 국민 중 61%, ‘딥페이크 가짜뉴스’ 심각성 우려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그래픽뉴스] 국민 중 61%, ‘딥페이크 가짜뉴스’ 심각성 우려

피해 예방 위해 강력한 입법적·정책적 대응 요구해

기사입력 2024-12-11 17:25:2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그래픽뉴스] 국민 중 61%, ‘딥페이크 가짜뉴스’ 심각성 우려

[산업일보]
국민 중 약 61%는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부정적인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대국민 설문 조사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디지털공론장’에서 10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투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총 597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1.31%가 딥페이크 기반 가짜뉴스의 부정적 영향이 일반 가짜뉴스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응답했으며, 23.62%는 ‘조금 더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덜 심각하다’거나 ‘조금 덜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은 전체의 3%에 불과했다. 일반 가짜뉴스와 비슷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12.56%였다.

응답자 중 94% 가짜뉴스 또는 허위조작정보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봤다. (매우 심각함 55.95%, 심각함 38.53%)

응답자들은 딥페이크 기반 가짜뉴스로 인한 주요 부정적 영향을 ▲성범죄·명예훼손 등 인격적 피해(48.24%) ▲언론보도를 비롯한 정보 불신으로 사회 전반 신뢰 하락(25.80%) ▲보이스피싱 범죄와 같은 금융·투자사기에 악용돼 재산적 피해 발생(16.75%) ▲민주주의 파괴(9.21%) 순으로 꼽았다.

딥페이크로 생성된 가짜뉴스를 접해본 경험은 있다는 응답이 39.03%, 없다는 응답이 37.53%,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3.45%였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있겠냐는 질문에는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다’는 응답이 51.93%로, ‘판별할 수 없다’는 응답 41.88%보다 조금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딥페이크 기반 가짜뉴스 확산 원인을 법 제도의 미비(218건), 유통·확산이 쉬운 플랫폼 환경(176건), 딥페이크 악용자(133건)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피해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57.62%가 정부의 강력한 입법적·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정부의 정책 대응 방안으로 ‘딥페이크 가짜뉴스 제작 및 활용 범죄 처벌 강화(36.85%)’·‘딥페이크 생성 워터마크 제도 의무화(26.63%)’ 등을 골랐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두고 ‘국민들이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다’라며 방송통신위원회와 협력해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