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제조현장을 넘어 일상 생활에서도 로봇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로봇의 관리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플랫폼과 통합관제제어시스템을 개발해 온 빅웨이브로보틱스(주)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반영해 ‘솔링크(SOLlink)’라는 통합관제플랫폼을 개발한데 이어 최근에는 ‘솔링크 인더스트리얼’이라는 산업용 로봇 관련 플랫폼을 선보였다.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해 사흘간 코엑스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등의 공동 주최로 열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AW 2025)’에 참가한 빅웨이브로보틱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사의 로봇 관련 RaaS 플랫폼인 마로솔과 이와 연계된 솔링크를 소개했다.
솔링크는 현장에 투입딘 다양한 로봇과 인프라를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복잡한 설정 없이 다양한 로봇을 즉시 연결 및 활용이 가능하다.
솔링크는 크게 서비스용과 산업용으로 구분된다. 서비스용은 병원이나 호텔, 공항 등 상업시설에서 로봇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도입된 로봇과 인프라를 연동해 실시간 통합관제가 가능하다. 산업용인 ‘솔링크 인더스트리얼’은 제조 현장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제조 라인의 실시간 오류감지나 생산량 등 관리가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보다 한층 더 고도화된 ‘솔링크 플러스(SOLlink PLUS)의 경우 오픈 API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기술로, 한 번의 연동으로 솔링크에 연결된 모든 로봇을 즉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이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직관적 데이터 통합이 제공되며, 궁극적으로는 이기종 로봇이나 플랫폼 간 호환성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솔링크 플러스는 삼성전자의 AI기반 B2B 솔루션인 ‘스마트씽 프로(SmartThing Pro)'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로봇을 즉시 연결하고 추가 개발없이 로봇관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사용자들이 로봇을 기존의 가전제품처럼 쉽게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됐다.
빅웨이브로보틱스의 CTO를 맡고 있는 송준봉 부사장은 “빅웨이브로보틱스가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는 ‘로봇의 대중화’이고, 이를 테마로 솔링크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라며 “‘로봇을 좀 더 쉽게 사용했으면 좋겠다’가 저희의 목표여서 서비스 계열의 솔링크가 처음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앞으로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로봇이 나올 텐데 그런 것들을 좀 편하게 쓸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가지는 것이 기술적인 지향점”이라고 언급한 뒤 “솔링크 인더스트리나 솔링크 플러스도 그런 개념이라고 보시면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