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배·분전반 등 화재 154건 발생…부상 6명, 재산피해 약 42억 원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배·분전반 등 화재 154건 발생…부상 6명, 재산피해 약 42억 원

기사입력 2020-08-20 18:37: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배·분전반 등 화재 154건 발생…부상 6명, 재산피해 약 42억 원
[산업일보]
배분전반 화재가 크게 늘고 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20일 올 여름 배·분전반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20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 10일까지 배전반, 분전반, 전산전력계 등 전기설비 화재는 총 154건 발생해 부상 6명, 재산피해 약 42억여원 등의 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와 올해 화재를 분석할 결과, 배·분전반 등 화재는 여름철인 3분기(7~9월)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이달 초 집중호우로 인해 8월 1일부터 10일까지 열흘 동안에만 37건의 관련 화재가 발생, 작년 8월 한 달 발생한 18건을 훌쩍 뛰어넘었다.

화재 원인은 우천 시 빗물 침입으로 인한 누전, 선간 단락 화재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전선을 감싼 절연체 표면이 먼지나 수분 등으로 오염되거나 손상된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며 열과 빛이 발생하는 트래킹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화재는 평상시 전기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주택, 공장, 창고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화재 시 방화설비가 부족한 돈사, 계사, 농업용 비닐하우스 등이 피해규모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됐다.

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화재 예방을 위해 분배·분전반 등 설비에 수분이나 먼지가 침투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며 “전문기관을 통한 정기전 전기설비 점검과 함께 배·분전반 내부에 성능을 검증받은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배전반_전력선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여러개의 분전반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분전반_배전반으로부터 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말단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전산전력계(전기계량기)_회로에 통과된 전력을 흐른 시간 동안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치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