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정부가 지방 공장 인력난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공장 신·증설을 앞둔 지방투자 기업에 대해 ‘한국형 퀵스타트(Quick Start) 프로그램’을 시범사업으로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 2월부터 한 달간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초기 인력난으로 공장 100% 가동이 지연된 기업의 경우, 약 1~3억 원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조지아주의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한 해당 프로그램은 기업이 지방에 공장을 건설하는 동안 필요한 인력을 사전에 모집 및 교육하고, 공장 준공과 동시에 해당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공장이 적기 가동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산업부 지역경제총괄과 배은주 사무관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미국 조지아주의 경우, 땅이 넓어 인력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해당 프로그램을 주도한다. 하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인력 이동이 용이해서 지자체에서 모든 것을 전담할 필요가 없다. 해서 정부와 함께 추진해나갈 예정이다”라며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시범사업을 위해 2개의 지방투자 기업을 선정해 채용 후보자 모집 및 맞춤형 교육 등에 총예산 1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선정 기업은 지자체, 산학융합원 등의 도움을 받아 채용 후보자를 선발하고, 지역 대학 등을 통해 특화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배은주 사무관은 “6월 말에서 7월 초쯤에 투자 기업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범시행이 진행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산업부 관계자는 “현 정부의 지역 균형 발전 정책 핵심은 기업의 지방투자를 촉진해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이 세제, 입지, 현금 등 현행 인센티브와 더불어 실효성 있는 지방투자 유인책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