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스] 기후테크 산업, 작년 전 세계 투자금액 1조 6천 달러
국내 민관협력으로 신기술 개발 및 지원 확대 필요
[산업일보]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투자금액이 증가하면서 ‘기후테크(Climate Tech)’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 동력, 기후테크’ 보고서에서 관련 기업에 민관협력을 통한 지원 확대와 적극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기후테크는 기후변화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모든 범위의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산업에 적용 가능하다. 탄소배출 축소, 흡수하는 ‘완화(Mitigation)’, 달라진 환경에서 살아가도록 돕는 ‘적응(Adaption)’, 다분야에 중첩된 관련 기타 기술을 포함한 ‘완화·적응 융복합’으로 구분된다.
보고서는 블롬버그(Bliimberg)의 자료를 인용해 2022년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 투자금액은 1조 6천 달러로, 이중 에너지 전환 1조 1천 달러, 전력망 2천740억 달러, 기후테크 기업 펀딩 1천190억 달러가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2022년 글로벌 VC(벤처캐피털)도 기후테크 산업에 701억 달러 이상읕 투자하며 규모가 급속도록 커지고 있다. 보고서는 맥킨지가 2030년까지 9조 달러 이상의 기후테크 시장, 피치북은 5년 뒤 기후테크 VC시장을 1조 4천 달러 규모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가 분야별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운송·모빌리티’는 전기차와 배터리, 마이크로 모빌리티 중심으로 투자가 집중돼 빠르게 시장성숙기에 진입했다. ‘에너지’는 태양열과 풍력 등 기술성숙도가 높은 재생에너지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고, ESS(에너지 저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애그리테크(식품·농업·토지)’는 대안식품과 정밀농업이 성장을 주도하며 투자잠재력을 보여주고 있고, ‘탄소시장’은 아직 초기기술 단계이나 산업현장의 탄소를 경감시키는 거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현재 기후테크 투자가 기술성숙도가 높은 영역에 집중되고 있으며 신기술 및 시장, 상품개발에는 전략적 투자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또, 이들 기업에 대한 민간투자가 부족해 정부지원 의존도가 심화될 위험이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금융사들은 사회적 책임과 더불어 기후테크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에 비춰 국내에서도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으로 신규기업 탄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금융회사들의 기회 발굴 및 ESG(사회·환경적 활동 고려하는 기업성과지표) 차원에서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