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배터리 재활용 생태계, 서둘러야 기회 잡는다
본격적인 폐배터리 배출 앞서 긴밀한 기업간 협력 관계 구축 필요
[산업일보]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본격적인 개화를 앞두고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LG경영연구원은 지난달 15일 ‘폐배터리 리사이클 생태계, 본격 개화에 대비 필요(이하 보고서)’를 발간하며 이같이 밝혔다.
전기차용 배터리의 수명은 약 10년 정도다. 폐배터리가 본격적으로 나오려면 아직 상당 기간이 남았지만 재활용 생태계 구축 논의가 서둘러 진행되고 있다.
기업들이 주목하는 포인트는 폐배터리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과 광물 공급원으로서의 가치다. 내연기관차는 폐차 시 차량에 따라 대당 5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 정도의 보상만 받을 수 있지만, 전기차는 폐차 보상 외에 배터리 용량과 잔존 성능, 추출 가능한 광물 양에 따라 수백만원에서 천만원을 상회할 수 있다.
리사이클 시장은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구성된다. 전기차 배터리는 초기 성능 대비 70~80% 이하로 감소하면 주행거리 감소, 충전 속도 저하, 안전성 위험 증가 등의 문제로 교체가 필요하다. 자연스럽게 리사이클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폐배터리는 점검 후 상태에 따라 ESS(에너지 저장 장치), 교체용 전기차 배터리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어려운 경우엔 배터리 파쇄 후 희귀 금속을 추출해 ‘재활용’한다.
재활용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공정은 배터리를 파쇄해 생산한 블랙 매스에서 광물을 추출하는 ‘후처리’ 공정이다. 저온에서 황산용액 등으로 블랙 매스를 녹이고, 농도와 온도를 조절해 광물 하나하나를 화학적으로 추출해야 한다.
높은 난이도로 현재 폐배터리 재활용 생태계는 OEM(위탁생산)과 전문 기술 기업들과의 협력으로 형성되고 있다. OEM이 폐배터리를 수거해 전문 기업에 제공하면, 이들이 광물을 회수해 다시 OEM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별도 기술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폐배터리 재활용은 독자 추진보다 파트너와의 협력이 중요하다. 보고서는 ‘배터리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OEM과의 협력을 적극 모색하고, 작은 부분부터의 협력을 통해 장기적 관점의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