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일자리 풀타임 취업자 9만 2천 명 급감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일자리 풀타임 취업자 9만 2천 명 급감

기사입력 2023-10-23 16:17:4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일자리 풀타임 취업자 9만 2천 명 급감

[산업일보]
올해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풀타임 취업자가 9만 명대 급감세를 보였다. 경제침체 위기에 민간 일자리 시장도 얼어붙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시을)이 통계청 고용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풀타임 취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 9만 2천 명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60세 미만 민간 풀타임 취업자는 1천 905만 1천 647명, 지난해에는 1천 914만 3천 338명을 기록한 바 있다.

통계청이 평소 적용하는 ‘머릿수 세기 방식’으로 집계한 전체 상반기 취업자 수는 지난해 대비 약 37만 2천 명이 증가했었다. 하지만,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 공공일자리 등을 제외하자 질 좋은 민간 일자리는 큰 폭으로 줄었다.

풀타임취업자는 전일제환산(FTE)을 적용한 고용지표다. 주 40시간 일한 것을 '취업자 1명분'으로 보는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이용하는 통계다.

예를 들어 20시간 일하면 0.5명, 80시간 일하면 2명으로 산출하는 식이다. 이에 따라 FTE 방식은 고용의 질을 판단할 때 유용하다.

김회재 의원은 여기에 농림어업, 공공행정, 보건복지 취업자 수를 제외해 민간 일자리 수를 산출했다. 업종별 60세 미만 민간 풀타임 취업자 감소폭은 제조업이 13만 4천 명으로 가장 컸고, 도매 및 소매업은 8만 9천 명, 건설업은 5만 3천 명 등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월별로는 1월(-42만 1천 636명), 2월(-17만 74명) 감소하다 3월(+19만 9천 839명) 반등했으나, 4월(-3만 2천 860명), 5월(-11만 3천 138명), 6월(-1만 2천 280명) 3개월 연속 다시 감소했다.

취업전선 현장에서는 이미 민간 일자리 시장이 얼어붙었다는 평가와 함께 윤석열 정부의 인식이 안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7월 12일 기획재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상반기 기준 취업자 수가 37.2만 명 증가하고, 고용률이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김회재 의원은 “전 정부 탓만하고, 부자감세를 하면 경제가 살아날 것처럼 호도하더니, 결국에는 질 좋은 민간 일자리 급감은 물론 국제기구로부터도 경제 낙제점을 받고 있다”면서 “윤석열 정부의 국정기조 전면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