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GovTech’ 생태계 선진국 중심 확산, 적극적 참여 필요해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GovTech’ 생태계 선진국 중심 확산, 적극적 참여 필요해

전자정부 데이터·디지털 기술 결합해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책 모색 가능

기사입력 2024-12-15 09:22:3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GovTech’ 생태계 선진국 중심 확산, 적극적 참여 필요해
ChatGPT를 통해 생성한 이미지

[산업일보]
정부의 형태가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으로 변화하면서, 정부(Government)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GovTech’가 부상하고 있다. 정부부문의 기술 혁신을 통해 공공서비스 개선과 정부 운영의 효율성 향상 등을 추구하는 개념이다.

소포트웨어정책연구소는 최근 발간한 ‘SW중심사회 2024년 12월호’의 ‘글로벌 트렌드로서의 GovTech와 GovTech의 유형화’보고서를 통해 GovTech의 동향을 살폈다.

보고서에 따르면, GovTech는 전자정부에서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정부의 역할·방식이 변화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전자정부에서 획득한 풍부한 데이터에 AI(인공지능)·IoT(사물인터넷)·블록체인 등 진화한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기존 사회문제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해외에서는 하나의 글로벌 트렌드로서 GovTech에 대한 논의가 선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보고서는 시장 분석 기관 ‘컴캠(ComCap)’의 자료를 인용해 GovTech 시장이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16.4%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27년 1조 달러 이상의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유럽 지역에서는 공공부문 혁신을 위해 여러GovTech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관련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중남미 지역 국가들도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GovTech 활성화 촉진에 나서는 모양새다.

한국은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제시하며 GovTech를 강조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올해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GovTech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실시하며 창업 활성화에 나섰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GovTech 산업 활성화 TF’를 중심으로 국내 SaaS 육성 및 GovTech 기업 해외진출 지원 등을 논의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GovTech의 유형을 ▲거버넌스 수립형 ▲아이디어 공모형 ▲플랫폼 활용형 ▲문제 해결-기업 성장 동시추구형 ▲혁신 연구형 5가지로 구조화했다.

보고서는 선진국과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GovTech 생태계가 구축되고 있어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유럽 국가는 EU를 중심으로 챌린지 대회, 해커콘 등을 공동으로 실시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확장하고 있으며, 중남미 국가는 CAF(중남미개발은행)에서 다수의 GovTec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아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GovTec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구체화하는 모습은 국가별로 차이를 보여 적절한 벤치마킹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