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외환리스크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고환율·고관세 시대 외환리스크 대응방향 및 외환시스템 개혁방향’ 토론회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국회의원들은 12·3 비상계엄 사태에서 비롯된 정치적 혼란을 빠르게 수습하고 구시대적 외환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상상 이상의 조치들을 빠르게 전개할 것이란 이야기가 들린다”면서 “총력 대응이 필요한 시기에 12·3 사태로 국가적 대응 역량이 약화됐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대 성장에 그칠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데, 그럴수록 금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안도걸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한국이 해외 투자로 벌어들인 소득이 300억 달러에 달하고, 이는 무역으로 얻은 수익의 약 3배에 달한다”면서 “외환거래에 참여하는 다양한 경제주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외환시장 안정화의 또 다른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외환 유출을 의식해 규제하기보다 외환시장 자체의 규모를 키워 충격을 흡수해야 한다”면서 “외환시스템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외환 시장 자체를 미래 혁신 산업으로 키워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