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AI의 활용 영역이 점점 넓어짐에 따라 산업계 역시 AI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에 치중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인력난과 제정난으로 인해 AI도입이 시급한 중소기업의 경우 AI가 필수적인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실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16일 국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산업 AI확산 방안 토론회’의 발제자로 참가한 서울대학교 주영섭 교수는 최근의 AI기술의 동향을 소개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체감할 수 있는 AI기술을 소개했다.
‘제조 AX(AI Transformation), 글로벌 AI First Mover 전략’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맡은 주 교수는 “과거 한국이 ‘Fast Follower' 일때는 효율성과 생산성, 기술‧제품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효과성과 전략적 방향성, 혁신성, 목적‧미션‧사람 중심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AI분야는 원천기술의 개발과 함께 각종 이론과 기본모델, 알고리즘, 컴퓨팅 인프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이 분야에서는 Scale Effect가 유효하기 때문에 투자 규모가 시장의 성패를 좌우한다.
반면, AX는 AI의 활용도에 따라 성패가 달라지기 때문에 AI외에도 데이터와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AI를 활용한 분야나 제품, 서비스와 관련된 경쟁력이나 노하우를 통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전망이다.
주 교수는 “현재 한국은 AI분야에서 3위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Fast Follower’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한 뒤 “단, AX를 빠르게 추진해 이 분야의 최강국이 돼서 ‘First Mover’로 자리매김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AX 추진 단계에서 ‘에이전틱 AI'의 신속한 도입을 촉구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생산공정 전반에 에이전틱 AI를 구축함으로써 산업 AX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그는 “다양한 산업별‧기능별 에이전틱 AI를 통해 생산성 및 경쟁력의 획기적 제고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에이전틱 AI의 성공적인 도입은 결국 ‘데이터가 핵심’이라는 주장도 이 자리에서 언급됐다. 주 교수는 “대한민국의 산업계에서 데이터‧AI주권 확보 및 디지털 경제의 육성을 위해서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한 뒤 “민간 주도의 탑다운 방식이 주효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리기도 했다.
강연을 마무리하면서 주 교수는 “1990년 대에는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는 슬로건이 있었는데, 이제는 AI는 늦었지만 AX는 앞서가자‘는 슬로건이 필요한 시기”라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