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해양을 기반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이산화탄소 제거 방법(mCDR)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mCDR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MRV(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박현정 부소장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해양 기후테크 미래 발전 전략세미나’의 발제자로 참석해 mCDR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인증과 과정 등에 대해 언급했다.
박 부소장은 MRV 구축 과정이 기술적, 거버넌스적 측면에서 매우 복잡하며, 다양한 주체와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박 부소장은 “MRV는 정량화된 성과를 도출하고 온실가스 감축 추정치를 확보하기 위해 사업 단계별 절차와 방법론을 모두 거쳐야 한다”며, “IPCC 기준을 기반으로 한 섹터별 접근과 기술 산출물 연계가 필수적이며, 특히 해양 분야 신기술은 기존 IPCC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지 않아, 관련 방법론 개발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탄소 시장과의 연계에 대해 박 부소장은 “MRV없이 탄소 시장은 기능하지 않다”고 선을 그은 뒤, “2015년 파리협정 이후 강화된 투명성 체계와 SDG 연계 규제가 MRV 운영을 더욱 엄격하게 만들고 있으며, 호스트 국가 중심의 관리, 제3자 검증, 6.4조 규제 등 다층적 절차가 필수적이며, 각 단계마다 전문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부소장은 mCDR이 대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제3자 검증 전문가 부족, 고비용 모니터링, 기술적 불확실성, 장기 모니터링 책임 문제 등 다양한 도전 과제가 존재하며, 사회적 수용성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고 말한 박 부소장은 “파일럿 단계 프로젝트나 아이디어 수준의 연구가 많아 국제 크레딧과 NDC 반영은 아직 쉽지 않다”고 밝혔다.
MRV구축과 운영 비용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도 박 부소장은 우려의 시선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박 부소장은 “고도화된 모니터링과 검증 과정에서 비용이 사업 비용을 넘어설 수 있고 기술적 난이도와 장기적 불확실성이 사업 추진의 큰 장벽이 된다”고 언급한 뒤 “환경적 영향, 사회적 수용성 등 다층적 요인이 맞물려, mCDR의 실제 적용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부소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mCDR은 기후 위기 대응 잠재력이 크지만, MRV 구축과 검증 체계 개선 없이는 국제 탄소 시장과 연결되기 어렵다”며, “국내 연구와 국제 협력, 전문가 참여를 통해 기술과 거버넌스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