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에너지 자립도가 낮은 우리나라에게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수소경제는 에너지 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계 전반의 대안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이에 수소경제를 연착륙 시키기 위해서는 정책과 투자, 생산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성물산의 정기석 상무는 8일 국회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그린수소 밸류체인 강화 : 국제 협력과 시장 확보 방안’토론회에서 수소경제의 최근 현황과 수소경제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수소경제와 관련된 글로벌 협력‧비즈니스 비전과 방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정 상무는 청정수소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전력을 물질로 전환하는 에너지 패러다임에 따라, 수소 경제 전환의 선제적 준비는 필연적”이라며 “중‧단기는 재생에너지와 배터리 저장 시스템(BESS)가 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소가 친환경 에너지 시장을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상무의 설명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사업 개발이 진행 중이다. 국내의 경우 해외에서 생산된 청정 수소‧암모니아의 원활한 국내 도입 및 활용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이 추진 중이다.
이 자리에서 정 상무는 한국이 수소사업의 선도국가로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건의하기도 했다.
정책과 투자, 수소생산이 함께 어우러져야 된다는 점을 강조한 정 상무는 “정책의 경우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할 때 수소차와 연료전지가 마중물 역할로 초기 시장과 투자를 견인하도록 계획해야 한다”며 “가장 경제성이 있고 대규모 수전해에 적합한 알갈라인 수전해의 경우 중국이 소부장을 주도하며 대규모 보급과 실증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투자에 대해 정 상무는 “단기적으로 인프라 학습과 확장으로 생산과 운송 비용이 급격히 감소하며 수소 거래의 수익성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기술 리더십의 확보가 중요하다”며 “투자 대비 탈탄소에 가장 큰 가치를 제공하는 기술과 해결방안을 효율적으로 순차 배치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소생산의 경우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무탄소 에너지에서 생산한 수소를 기반으로 산업 부분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수소를 이용한 RE100, 탄소국경세 등 환경 무역장벽의 대응을 위해서는 무탄소 수소의 확보가 요구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