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글로벌 AI 관련 기업들이 모두 의료 AI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나 한국은 영상 판독이나 진단 보조 등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의 벽과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다소 뒤처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25일 국회에서 열린 ‘K-의료데이터 기반 AI 헬스케어 미래전략: 국회 K-헬스케어·웰다잉 포럼 정기 세미나’에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조원영 실장은 발제자로 참가해 헬스케어 AI 분야의 인재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AI시대 헬스케어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인재양성의 중요성’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조 실장은 가트너의 발표를 인용하면서 “헬스케어‧생명과학의 AI소프트웨어 시장 성장 전망은 전력‧유틸리티에 이어 두 번째”라고 말한 뒤 “임상치료나 병원 운영 및 행정 전반은 물론 생명 과학분야의 치료제 연구, 개발 및 상용화 프로세스 전반에서 AI가 활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헬스케어 산업에서 AI 활용 성숙도는 산업 평균을 밑도는 수준”이라고 언급한 뒤 “헬스케어 산업의 AI 관련 인력 채용 비중 역시 산업 평균을 하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AI가 의료분야에의 적용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를 조 실장은 ‘헬스케어 분야 특유의 어려움과 하이리스크’에서 찾았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AI기술을 의료에 적용하려면 규제와 함께 성공사례나 임상 결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가 AI와 관련한 거버넌스 및 윤리관행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의료계 내에서도 AI와 관련한 역량이나 이해가 부족하며, 생태계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불일치 하는 것 역시 AI의 연착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조 실장은 “한국이 의료 분야 AI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인재양성이 중요하다”며 “산업화의 결실은 주요 발명이 이뤄진 국가가 아니라 인재 양성 체계를 갖춰 대규모 인력을 신속히 배출한 곳에서 거둔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의과대학 등 교육기관과 정부, 빅테크 기업, 제약회사 등에서 인력 양성이 어떠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 지를 소개하면서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그는 “파급력이 높은 기술일수록 개발에서 보급, 확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며 “기술 자체의 혁신 뿐만 아니라 이를 도구로 이용하는 혁신도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