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AI(인공지능) 시대의 급진적인 파고를 극복하기 위해선, 인재 육성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해야 한다.
국회미래산업포럼과 국회미래연구원이 25일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개최한 ‘AI 시대 R&D 고도화를 위한 인재 전략 정책토론회’에서는 관련 부처인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부 관계자가 참석해, AI 시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부처별 추진 전략을 설명했다.
산업통상부
산업부 우성훈 산업일자리혁신과장은 토론회에서 나온 ‘AI 인재 육성을 위해 기업들이 투자를 대규모로 확대하고, 인재를 적극 채용한다’라는 의견에 대해 “세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장기 투자나 미래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다 보니, 기업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대변했다.
우 과장은 “산업부는 1월부터 시행한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을 법적 기반으로, 교육부와 협업해 기업 인프라를 활용해 재직자들을 AI 인재로 전환하는 ‘사내 대학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진 설명에 따르면 사내 대학원 외에도 산업 현장 교육 아카데미에 AI 커리큘럼을 신설하고 있으며, ‘특성화 대학원 사업’을 통해 지방의 현장 인력들이 AI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는 “올해 AI 석·박사 프로젝트 사업 과제에 25억 원이 투입됐는데, 내년에는 6배 확대해 138억 원가량을 투입하려 한다”라며 “9월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 출범한 ‘맥스 얼라이언스(M.AX 얼라이언스)’와 같이 기업, 산업, 대학 간 연결고리를 계속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직자 AX를 지원하는 AI 교육센터를 올해 신설하려 했으나, 기획재정부 예산 반영에 성공하지 못했다”라며 “내년 재추진 시 국회에서 도움을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강조했다.
우성훈 과장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대로, 해외 우수 인력들이 한국에 들어올 때 비자 및 세제를 지원하는 ‘케이테크패스(K-Tech Pass)’가 현장에 더 깊이 뿌리내리고 지방 중견기업이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학계와 산업계 인재상 미스매치 존재
토론에는 1호 ‘사내 대학원’을 마련한 LG AI연구원의 정혜연 Academy팀장도 참여했다.
LG AI연구원은 비인가 대학원 과정으로 2021년부터 파일럿 과정을 시작했고, 올해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 개정을 통해 8월 22일 교육부로부터 사내 대학원 석사 과정 설치를 인가받았다. 박사 과정 인가는 12월 중순 결과가 나올 예정이며, 내년 3월부터 정식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정 팀장은 “파일럿 과정을 통해 인재 육성 및 재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했고, 인가 과정으로 공식 확대했다”라며 “내부 인재들이 AI 교육을 받고 다른 기업으로 이직하는 일도 잦기 때문에, 인재들을 가둬두는 전략으로도 사내 대학원을 활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겸임 교원 21명을 보유하고 있으나, 전임 교·강사를 찾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라며 “일반 대학과 AI 대학원에서도 AI 전공 교수 탐색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 시작 단계인 사내 대학원에 선뜻 오겠다고 하는 교원들이 많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LG AI연구원은 과기정통부 주도의 대형 연구 인력 지원 사업 ‘이노코어(InnoCORE)’를 활용하기로 했다. 그러나, 교원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인원이 외국인밖에 없었다.
정혜연 팀장은 “저희 입장에서는 인재 유치가 어려웠는데, 학계에서는 인재를 채용해 주지 않는다고 한다”라며 “학계와 산업계 간 인재상에 미스매치가 존재해, 서로 소통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라고 강조했다.
교육부
교육부 김주연 인재양성정책과장은 지난 10일 교육부가 발표한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소개했다. 초등학생부터 평생교육, 기업 재직자까지 아우르는 전주기 AI 교육 종합 방안이다.
김 과장은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많은 학생이 다양한 AI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라며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소양 함양 및 교사들의 AI 교수 학습 능력 개발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맞춤형 AI 교육 확대를 목표로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AI 소프트웨어 특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고등학교 입시에서도 AI 입학 전형을 확대할 예정이다.
AI 인재 활용·유지를 위해 다양한 사회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공립대 교원 확보 시 AI 분야를 우선 고려하고, 공무원 보수 체계에 따라 경직돼 있는 연봉 책정 특례를 위해 인사혁신처와 적극 협의 중이다.
또한 대학에서 65세 이후에도 교육·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정년 연장 특례를 올해부터 지방대학에 적용하고 있다. 수도권 대학에서도 해당 정책을 적용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교육부는 ‘창업활성화 지원 재정 펀드 확대’, ‘지역 특화 AI 인재 양성 강화’ 등의 정책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부
과기정통부 정의라 소프트웨어기반조성팀장은 “교육부의 초·중등 교육 사업을 보완해 더 심도 깊은 교육이 이뤄지도록 지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인재 양성 전략의 체계를 ‘▲누구를 ▲어떤 것을 ▲무엇으로 ▲누가 가르칠 것인가’라고 분석하며 “관계 부처들이 각 영역에 따라 여러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과기정통부는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