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조명의 기자|cho.me@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월 수주 2,811억 원으로 전월 대비 4.7% 감소

기사입력 2013-10-30 00:01: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산업일보]
최근 공작기계시장은 월수주가 2개월 연속 3,000억 원 이하를 기록하고 전월 대비로도 2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지속했다. 이는 계속되는 내수수주 약세 속에서 전달과 마찬가지로 계절적인 요인이 더해지면서 어려움이 가중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8월 공작기계 수주는 2,811억 원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4.7% 감소했으나, 수출은 1억8,900만 달러로 8.9% 증가했다.


수주

2013년 8월 공작기계 수주는 2,811억 원으로 전월 대비 4.7% 감소(전년 동월 대비 18.5%)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지난해 하반기 부진한 실적에 대한 기저효과로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수주는 1,328억 원으로 전월 대비 2.2% 증가(전년 동월 대비 12.7%)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출수주는 1,483억 원으로 전월 대비 10.2% 감소(전년 동월 대비 24.2%)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5개월 연속 증가를 지속했다.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표 1] 공작기계 수주 (금액 : 억 원)


올해 1~8월 공작기계 총 수주는 2조6,23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는데, 이는 일부 프로젝트성 수주가 반영된 결과로서 이 영향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다. 내수수주는 1조1,8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으나 수출수주는 1조 4,343억 원으로 13.4% 증가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7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2.5%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도 8.3% 감소하며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자동차 등에서 투자가 증가했으나 일반기계류, 전기 및 전자기기 등에서 감소했으며, 국내 기계수주는 전자 및 영상 음향통신, 고무 및 플라스틱 등에서 늘어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했다.

전경련이 발표한 600대 기업의 9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94.4로 5개월 연속 기준치 100 이하를 나타냈다. 이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우려와 이에 따른 신흥국 경제 불안, 국내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 수주를 보면 NC절삭기계(2,811억 원, 전월 대비 -4.7%), 범용절삭기계(94억 원, -7.5%), 성형기계(359억 원, -32.2%)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900억 원, 전월 대비 2.5%)이 전월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머시닝센터(1,020억 원, -6.1%)는 감소했다. NC선반은 4개월 연속 월 수주가 1,000억 원 이하를 나타냈으나 머시닝센터는 7개월 연속 1,000억 원 이상을 유지했다. 보링기(NC 포함, 56억 원, 전월 대비 -21.2%), 연삭기(NC 포함, 64억 원, -2.0%), 밀링기(NC 포함, 37억 원, -9.3%), 범용선반(21억 원, -3.0%)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다.

한편, 프레스(354억 원, 전월 대비 -32.4%)는 내수수주(101억 원, 3.8%) 약세 속에 수출수주(253억 원, -40.7%)도 전월 대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월수주가 462억 원으로 전월 대비 4.8% 감소(전년 동월 대비 1.9%)했으며 일반기계 업종은 227억 원으로 전월 대비 3.2% 증가했다. 금속제품(126억 원, -3.9%), 철강/비철금속(99억 원, -0.5%), 정밀기계(30억 원, -25.1%)는 전월 대비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IT(132억 원, 44.4%), 조선/항공(86억 원, 43.2%) 업종은 증가했다.

생산·출하

2013년 8월 공작기계 생산은 2,483억 원으로 전월 대비 4.6% 감소(전년 동월 대비 -13.6%)했으며, 출하는 2,883억 원으로 전월 대비 1.2% 감소(전년 동월 대비 -6.5%)했다. 특히 생산은 13개월 연속 3,000억 원 이하를 나타내며 11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지속 중이며 출하도 8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표 2] 공작기계 생산/출하 (단위 : 억 원)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952억 원, 전월 대비 -15.5%) 및 범용절삭기계(95억 원, -7.2%)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성형기계(436억 원, 127.4%)는 증가했다. NC선반(906억 원, 전월 대비 -12.9%)과 머시닝센터(889억 원, -9.0%)는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프레스(435억 원, 129.3%)는 증가했다.

올해 1~8월 공작기계 생산은 2조6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감소했으며, 출하도 2조2,917억 원으로 13.3%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1조7,647억 원 -15.8%), 범용절삭기계(741억 원, -18.7%), 성형기계(2,242억 원, -11.6%) 생산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수출

2013년 8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8,9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8.9% 증가(전년 동월 대비 1.5%)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표 3] 공작기계 수출 추이 (금액 : 백만 달러)


품목별 수출을 보면 NC절삭기계(1억2,600만 달러, 전월 대비 -3.4%) 및 범용절삭기계(780만 달러, -4.4%)는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성형기계(5,470만 달러, 59.0%)는 증가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5,970만 달러, 전월 대비 -3.0%)이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6개월 연속 5,000만 달러 이상을 유지했고, 머시닝센터(5,260만 달러, -4.8%)도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2개월 연속 5,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보링기(NC 포함, 680만 달러, 전월 대비 23.8%)는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연삭기(NC 포함, 130만 달러, -52.0%), 밀링기(NC 포함, 180만 달러, -43.4%), 범용선반(40만 달러, -44.2%)은 감소했다.

한편, 성형기계에서는 프레스(3,760만 달러, 전월 대비 135.9%) 및 전단기/펀칭기/낫칭기(820만 달러, 165.2%)가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단조기(190만 달러, -41.2%) 및 절곡기(500만 달러, -32.2%)는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에서는 아시아(1억400만 달러, 전월 대비 31.7%)가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유럽(4,270만 달러, -9.9%), 북미(3,090만 달러, -1.2%), 중남미(690만 달러, -26.35%) 지역은 모두 감소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6,680만 달러, 전월 대비 33.7%), 태국(1,220만 달러, 57.1%), 인도네시아(580만 달러, 276.8%), 인도(500만 달러, 15.2%) 모두 전월 대비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독일(1,380만 달러, 전월 대비 -24.4%)과 이탈리아(590만 달러, -21.5%)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터키(440만 달러, 11.1%)와 영국(430만 달러, 9.5%)은 증가했다. 미국(3,000만 달러, 전월 대비 -3.2%)은 2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를 보이며 다소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

올해 1~8월 공작기계 수출은 15억1,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2% 감소했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 북미, 중남미지역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유럽 지역은 소폭 증가했다.

수입

2013년 8월 공작기계 수입은 1억6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2.1% 감소(전년 동월 대비 6.1%)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TRENDS]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 속 수출 증가
[표 4] 국내 공작기계 수입 추이 (금액 : 백만 달러)


품목별 수입에서는 NC절삭기계(7,160만 달러, 전월 대비 -10.4%), 범용절삭기계(1,560만 달러, -23.0%), 성형기계(1,880만 달러, -8.1%)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600만 달러, 전월 대비 -48.9%)이 전월 대비 감소하며 3개월 만에 1,000만 달러 이하를 나타냈으며, 머시닝센터(2,750만 달러, -14.4%)도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2개월 연속 2,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보링기(NC 포함, 90만 달러, 전월 대비 -51.0%), 밀링기(NC 포함, 520만 달러, -21.2%), 범용선반(140만 달러, -53.5%)은 전월대비 감소했지만, 연삭기(NC 포함, 1,920만 달러, 7.7%)는 증가했다.

성형기계에서는 프레스(510만 달러, 전월 대비 -33.5%) 및 단조기(380만 달러, -6.0%)는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전단기/펀칭기/낫칭기(240만 달러, 0.2%)와 절곡기(560만 달러, 4.3%)는 증가했다.

지역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950만 달러, 전월 대비 -30.2%) 및 북미(180만 달러, -56.2%)는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유럽(4,410만 달러, 40.6%)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4,330만 달러, 전월 대비 -35.1%)이 전월 대비 감소하며 2개월 만에 5,000만 달러 이하를 나타냈으나, 대만(760만 달러, 27.3%)은 증가했다. 유럽으로부터 수입은 독일(1,790만 달러, 전월 대비 22.5%)과 스위스(1,210만 달러, 61.5%)가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이탈리아(290만 달러, -4.5%)는 감소했다.

올해 1~8월 공작기계 수입은 9억6,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했으며, 아시아가 감소한 반면, 유럽 및 북미 지역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