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산업단지 안전 컨트롤타워 없다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단지 안전 컨트롤타워 없다

합동방재센터, 전체 산업단지 1,040곳 중 ‘6곳’

기사입력 2014-10-09 01:24:4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단지 안전 컨트롤타워 없다


[산업일보]
산업단지 내 재난이 발생할 경우 체계적이면서도 즉각적인 대응을 해야하지만 컨트롤타워 부재로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재난대응기구인 합동방재센터는 총괄지휘 체계없이 각 부처 파견인력으로 구성된데다 전체산업단지 1천40개소 중 6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난해 7월 제4차 안전정책조정회의 시, 산업단지 안전확보 및 역량강화를 위해 전국 6곳에 설치한 합동방재센터는 정부기관 간 협조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나 총괄 및 지휘권한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단지공단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부좌현 의원(안산 단원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합동방재센터는 6개 정부기관에서 인력을 파견해 운영하고 있으나 재난대응을 총괄 지휘할 수 있는 기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좌현 의원은 “현재 상황에서 산업단지에서 사고나 재난이 발생하면 초기 대응에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세월호 참사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합동방재센터에는 환경부, 고용노동부, 소방방재청, 해당 지자체, 산업부 소속으로 산업단지공단과 한국가스공사 인력이 파견되어 있고, 환경부가 간사역할을 맡고 있으나 총괄 및 지휘권한은 주어지지는 않았다.

한편 재난상황에서 실제적 대응을 하는 기구인 합동방재센터는 국내 전체 산업단지 1,040곳 중 경기 시흥, 충남 서산, 경북 구미, 울산, 전남 여수, 전북 익산 등 6곳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합동방재센터 통제 범위를 넘어선 산업단지에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대응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부 의원은 “재난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초기판단과 신속한 대응이 중요한데, 현재 방재센터의 역량을 봤을 때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재난 초기에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지휘체계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합동방재센터의 역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