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사회기반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재정의 건전성 제고를 위해 1980대 후반부터 민관자본을 활용한 PPP사업을 추진해 왔다. 산업화가 본격화된 2000년대 중반부터 에너지(전력 및 가스공급)와 물(상하수도) 관련 사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운송시설(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건설 투자가 대대적으로 진행됐다. 이러한 가운데 PPP 시장은 중국 경제성장 5대 방안 중 하나로 정부의 강력한 지지하에 확대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약 421조원 규모 민관협력 사업(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공공서비스 인프라 확충에 민간 자본의 투자를 유도해 사회기반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재정의 부담을 덜겠다는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중국 민관협력사업 추진 전망 및 진출시 고려사항’보고서에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총 1천488개 민관협력 사업 목록을 분석하고, 유망 진출 지역과 분야를 제시했다.
지역별로는 신장자치구(新疆自治区)에 배정된 사업이 20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허베이(河北)성 146개, 안후이(安徽)성 138개, 산시(山西)성과 저장(浙江)성이 각각 120개 등이다. 이들 5개 지역에서 진행되는 사업수가 전체 민관협력 사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분야별로는 도로, 철도 등 운송관련 사업에 가장 많은 투자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는데, 윈난(云南)성의 경우 고속도로 건설에만 3,408억 위안이 투자되는 등 총 투자액 3,662억 위안이 배정됐다. 간쑤(甘肅)성은 물과 에너지 관련 사업이 최대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그러나 거대 중국 민관협력시장에 진출하기에 앞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당부했다. 입찰 일정이 사전 예고 없이 변경되기도 하고, 사업 규모가 축소 또는 중단되기도 한다. 이처럼 법적 기반 미흡, 관시로 인한 관(官)과의 협력 어려움, 중국 현지 업체와의 경쟁, 지방정부의 계약 경시 등 수많은 위험요소가 있는 반면에, 수익성에 대한 담보는 불확실한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한편 보고서는 직접 진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경우 민관협력 사업에 참여하는 중국 민간 기업과의 거래 확충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의 장현숙 연구위원은 “중국 민관협력시장은 규모와 성장, 지리적 여건 등에서 매력적인 시장임에 분명하나, 자국 산업보호에 힘입어 중국 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하다”면서 “장기적으로 중국 민관협력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지역의 발전과 주민 생활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책임경영의 차별화 전략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