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전 세계 국가가 협력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2100년 지구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5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의 불확실성까지 감안한다면, 지구온도는 7도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에 지구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지난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195개 협약 당사국이 채택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기존의 ‘2도 이내’보다 강화된 전략을 설정했다.
UNEP(유엔환경계획)의 2014년 발표에 따르면,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이 없을 경우 BAU기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0년 59GtCO2, 2030년 65GtCO2, 2050년 87GtCO2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도 2030년까지 37%의 감축목표를 제시해 감축공약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가장 유효한 감축수단으로 에너지효율 개선과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제시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국가 R&D 사업으로 선정된 그린카(친환경자동차)를 비롯, 에너지저장배터리, 에너지관리시스템 등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정부차원의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 차량 연비 기준 의무화 및 라벨링, 세금제도 도입‧운영 등이 요구된다.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이용 촉진을 통해서도 연비절감이 가능할 것이다.
기후변화연구실의 노동운 선임연구위원은 “국가별 산업특성에 근거한 특화된 에너지효율 개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에너지효율 개선 촉진을 위한 대표적 산업부문 정책에는 에너지진단, 보조금 지원, 에너지절약 설비 융자지원제도 운영, 에너지절약 목표 설정, 배출권 거래제, 자발적 협약, 특성별 전력요금 체제 구축・운영 등이 해당한다”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기업의 에너지절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고, 인도는 알루미늄・시멘트 산업의 에너지소비 목표 관리제도, 브라질, 미국 등 44개국에서는 에너지성능 기준제도를 의무화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