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독일이 전기자동차 판매 부진으로 딜레마를 겪고 있다. 정부 및 완성차 업계도 진퇴양난 상태에 빠졌으나 전기충전소 보급 움직임은 활발하다.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를 100만 대 보급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으나 전기자동차의 판매는 부진하다. 신규 등록 전기자동차의 대부분은 공공 기관 업무용이나 영업용으로 구매된다.
독일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기본사양 가격 기준 6만 유로 이하 전기자동차 구매 시 대당 4천 유로의 구매 보조금 지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실망스런 판매 결과를 보였다. 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지난해 총 4만7천996대가 신규 등록돼 2015년 대비 42.7% 증가했다.
구매 보조금 지원에 따른 재정부담 감수냐, 이산화탄소 감소 목표 달성에 차질을 빚느냐의 선택의 기로에 섰다. 소비자들이 전기자동차 구매를 꺼리는 이유로는 비싼 차량 판매가, 중고차 가격이나 배터리 수명에 대한 불안감, 짧은 주행거리, 부족한 충전 인프라, 오랜 충전 시간이 구매를 꺼리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나 판매 부진은 자동차 메이커들의 적극 투자에 딜레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Daimler Benz 사는 한 번 충전으로 5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EQ 모델을 2019년 출시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완성차 메이커들 중 지난해 11월 폴크스바겐, 포드사는 BMW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 유럽 주요 고속도로변에 수백 개의 전기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독일 내 대형 발전사 및 에너지 기업들 또한 정부의 지원 아래 향후 1년 이내에 수천 개의 새로운 충전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독일 EnBW는 주유소 운영기업 Tank&Rast와 함께 독일 남서부 지역에 두 개의 충전 포인트를 가진 고속충전소 117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RWE의 자회사인 Innogy사 또한 전기충전소 설치를 지원할 것이라고 했으나 정확한 수치는 밝히지 않았다.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측은 “정부의 구매보조금 지급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 판매가 부진해 정부, 기업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러나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독일 내 전기충전소 보급 움직임을 고려할 때 관련 전문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한 적극적인 현지 전기 충전소 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