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 회장이 지난 2016년 열린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WEF)에서 거론하면서 전 세계 산업의 지각변동을 불러왔다. 올해 열리는 다보스포럼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23일부터 26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진행되는 ‘2018 다보스포럼’은 ‘균열된 세계에서 공동의 미래 창조’를 핵심 주제로 삼고 있다. 일각에서는 ‘부유층 파티’라 불리는 만큼 올해 다보스포럼 역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 각국 정재계 인사 약 4천명 이상이 참석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이번 다보스포럼에서도 단연 화두다. 4차 산업혁명이 몰고온 정치·경제·사회 변화에 대해 어떠한 대응을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세계 인사들이 논의에 들어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8년 다보스포럼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각 국가들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신산업 기술이 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비를 철저히 해 기술변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몰고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Accenture의 조사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중 하나인 디지털화가 국가 기반이 되는 10대 산업(광업, 화학·신소재, 자동차, 항공, 오일·가스, 전기 등)에 적용된다면, 2016년부터 2025년까지 약 28조 달러 가치의 글로벌 순이익이 창출된다.
이외에도 산업 간의 교차를 통해 발생하는 이익, 플랫폼 경제 등의 간접효과를 고려한다면 약 100조 달러의 순편익이 발생한다. 이런 잠재적 경제 효과를 세상 밖에 도출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계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속 신기술이 불러온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로 인해 단순 노동자들의 생계 문제가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빈부 격차, 성별 격차 등 사회적 불균형 문제가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기술 격차까지 확대되면 고학력·고기술자들의 수요만 눈에 띄게 늘어나 사회적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에 이번 다보스포럼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기술 격차를 줄이고자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대안책이 논의돼야 한다고 현대경제연구원은 바라봤다.
한편, 글로벌 컨설팅 업체 A.T. Kearne이 올해 내놓은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미래 생산을 선도할 국가 중 생산구조 부문 2위로 꼽혔다.
이처럼 한국이 세계 산업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현대경제연구원은 “적극적인 국제 공조 동참, 지속적인 성장 기반 구축, 국내외 위협요인 대응, 사회적 갈등 축소 등을 위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현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확대, ▲혁신 주도 경제 시스템 구축, ▲사회적 갈등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 최소화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