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6, 제동장치 불량 가능성 제기돼 10만여 대 리콜
자동차조기경보제 도입 후 최초 발견
발매 이후 국내 중대형 승용차 시장의 흐름을 바꿀 정도로 높은 인기를 모았던 르노삼성자동차의 SM6에서 결함이 발견돼 10만여 대가 리콜조치를 받았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따르면, SM6 차량은 한국형 자동차조기경보제(EWR) 도입에 따라 제작자가 제출한 사고조사 보고서(이하 기술분석자료)와 사고기록장치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제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해당 현상에 대한 정밀 분석을 위해 제작자로부터 추가적으로 기술분석자료를 제출 받아 분석한 결과 브레이크 작동 결함 사실을 밝혀냈다.
분석한 결과, SM6 10만2천521대는 브레이크 오일 저장 탱크 부품의 결함으로 탱크 내 진공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 운전자가 평상시 보다 더 깊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원하는 제동력을 얻을 수 있어 평상시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경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향후 국토교통부는 제작사로부터 제출 받은 기술분석자료 등을 정밀 분석해 결함이 의심되는 현상을 제작자에게 조기 경보하고 제작자는 해당 현상에 대한 상세 분석을 통해 선제적으로 리콜을 시행함으로써 자동차 제작결함으로 인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동 차량 중 2천95대는 보닛을 열어 고정하는 장치(후드스테이)의 결함으로 엔진룸 등의 점검 시 보닛이 내려가 점검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확인돼 함께 리콜을 실시한다.
해당차량은 5월 4일부터 르노삼성자동차(주)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부품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