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함과 동시에 저탄소 경제 또는 탄소중립적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그린뉴딜’ 관련 전략 및 정책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하 KIEP)이 최근 발표한 ‘그린뉴딜 관련 국제사회의 대응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2019년 ‘유럽 그린딜’을 통해 2050년까지 역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관련 투자 및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2019년 ‘그린뉴딜 결의안’이 부결됐으나 기후변화 대응을 2020년 대선 의제 중 하나로 부상시키는 계기가 됐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은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2020년 말까지 제출할 예정이다.
국제사회 및 우리나라의 그린뉴딜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대표 분야는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지속가능한 수송 ▲순환경제 등으로 해당 분야를 중심으로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주요 17개국의 경제회복기금에서 약 30%에 해당하는 3조5천억 달러 규모가 친환경적인 투자로 분석됐으며,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향한 국제사회의 대규모 재정 지원 계획에 주목해 관련 분야에서의 국제협력과 사업 참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게 KIEP 측의 주장이다.
KIEP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국제사회의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를 주요국과의 협력 및 개도국 진출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적으로도 연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에너지 다소비 부문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배터리 및 수소연료 활용과 관련한 기술표준·규제 정책에서의 국제공조 노력이 필요하고, 수송서비스 통합운영 모델 개발 등 전반적인 수송인프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국내정책 지원 및 주변국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저감·관리뿐 아니라 친환경 소재 개발, 제품설계, 생산, 소비, 재사용·재활용 등 각 단계마다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적 부담을 줄임으로써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한국판 그린뉴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금융 논의 참여를 통한 재원 조성 ▲취약계층 지원과 지방정부의 참여 활성화 ▲디지털-그린 융·복합 확대 ▲해외 진출 지원정책과의 연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