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경기도 북부지역 산업단지(이하, 산단)의 효율성, 생산성 등 지표가 남부지역 산단에 비해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부지역 산단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13일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펴내고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연구원은 경기 남부에 산업단지가 집중됐으며, 북부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산업단지 조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노후산단의 수도 경기북부지역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인프라와 기타 산업 입지 조건에 따라 산업단지가 조성됐으나, 경기 북부와 남부의 경제 격차가 커지는 시점에서 이같은 격차는 향후 경기 남북간 경제 격차의 요인으로 지속 작용될 수 있다고 연구원은 예측했다.
산업단지의 생산성과 효율성 측면에서도 북부가 남부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분석됐다.
면적과 투입 노동을 대입해 누계생산액과 누계수출, 가동업체 등을 산출한 ‘효율성’ 측정에서 경기 북부의 상위그룹은 23%에 불과했다. 나머지 77%는 중․하위 그룹이 들었다.
5년간 생산성 변화도 경기 북부 산단은 67.9%가 정체 및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 남부 지역 산단은 49.2%의 효율성이 올랐고, 정체 및 감소 산단은 50.8%로 집계됐다.
격차 해소를 위해 연구원은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벨리와 함께 추가적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경기북부 노후 산단의 고도화와 스마트화도 제안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경기연구원의 조성택 연구위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격차 요인에 관해 “남부 같은 경우 (산업 분류표 기준) 연구개발원, IT, 컴퓨터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된 반면, 북부 지역에는 섬유나 가구, 인쇄 등 주력 산업이 미약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북부 지역에 유치할 산업에 관해 “아직 연구를 진행 중이긴 하나, 각 시․군별로 내세우고 있는 분야를 유치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라며 “고양시 같은 경우 바이오메디컬, 남양주는 그린바이오 산업 등이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