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이 자사 개발자들의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13일 삼성동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제3회 HMG 개발자 컨퍼러스’를 열었다.
현대차·기아 자율주행사업부 유지한 전무는 이날 진행된 키노트에서 현대차의 지율주행 개발현황과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요소기술 내재화’,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개발 전략으로 삼고 많은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유지한 전무는 “전방충돌방지부터 차로유지 보조까지 많은 기술을 개선하고 있다”라며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기술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개발 중인 ‘차로유지 보조 2’ 기술의 경우, 단순한 직선 주행을 넘어 급한 코너 구간에서도 최적의 자율주행 경험을 선사하려 한다”라며 “법적인 한도 내에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주행가능하도록 목표를 세웠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실내 카메라로 운전자의 눈동자를 감지해 일정시간, 경고를 보내도 반응이 없을 시 차량이 비상정지가 가능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2’기술도 연구 중이다. 유 전무는 “도로안전을 위해, 비상제동을 하더라도 급제동이 아니라 서서히 속도를 줄이며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양산된 기술뿐만 아니라, 미래 기술에서도 우위를 차지하고 싶다”라며 핸드오프(Hands Off) 기능을 개발 중이라고 언급했다. 고속도로를 넘어 도심에서도 해당 기능을 확대하려 한다는 것이다. 어린이구역, 회전교차로같이 복잡한 도심지 주행을 위해 인지 분야 등 필요한 부분의 기술을 육성하겠다고도 말했다.
더불어, 원격자율주차/출차 기술 개발을 위해 다양한 주차환경을 꾸며놓은 연구시설과 국회의사당에서 주행 중인 ‘로보셔틀’의 영상을 선보인 유지한 전무는 “그룹차원에서 자율주행이 중요한 미래기술이라고 생각하고 연주하고 있으나. 아직도 도전적인 기술임은 사실”이라고 의견을 내놨다.
유 전무는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자율주행 기술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로, 현대차의 수많은 엔지니어들은 노력을 다하고 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