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한 여러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에서 ‘스마트시티’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스마트시티 시장의 지속 성장이 관측됨에 따라, 관련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최근 ‘스마트시티 수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24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스마트시티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라고 정의했다. 또, 국가별로 스마트시티를 다양하게 정의해 개념적인 차이가 있으나, 도시경쟁력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첨단 ICT 기술을 도입해 도시문제를 다룬다는 목적은 대부분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어스(Market.us)의 자료를 인용해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19.7%로, 2023년 약 7천억 달러에서 2033년 4조 6천67억 달러가량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연평균 성장률 29.2%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인도·중국 등 대규모 도시화 및 디지털 인프라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 교통·에너지관리·공공안전 프로젝트 수요가 크다.
중동·아프리카는 중동의 풍부한 재정 지원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UAE, 사우디아라비아, 케냐에서 활발하게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북미 지역은 스마트 인프라 및 디지털 전환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라틴아메리카는 스마트 교통과 공공안전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유럽은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위한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분야별 시장 연평균 성장률로는, 스마트 빌딩이 27.1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스마트 에너지 관리(22.36%)·스마트 폐기물 관리(17.16%)·스마트 물 관리(16.78%)·스마트 헬스케어(16.37%)·스마트 운송수단(10.4%) 순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권역별 스마트시티 전략의 특징도 살폈다. 동북·동남아시아는 디지털 인프라 확충 및 AI·IoT 등 기술 통합을 중심으로 도시 효율성 및 거버넌스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는 환경보호와 도시 관리 효율성 증대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 AI·IoT·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공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중남미는 재해 관리와 공공안전 개선을 중요과제로 인식하고 기존 도시 인프라에 스마트 시티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중동과 중앙아시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NEOM City)’와 같은 초대형 프로젝트와 도시 전체의 디지털 전환에 초점을 맞췄다.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을 필두로 자율주행. 스마트 에너지 관리, 디지털 정부 서비스 등의 첨단기술을 도시계획에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올해 5월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상생과 도약의 스마트시티 구현’을 비전으로 ‘제4차 스마트시티 종합계획(2024-2028)’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국가 시범도시를 지정한 세종시 ‘5-1 생활권’과 부산광역시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에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고, 그 성과를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한국의 스마트시티 경쟁력은 어떨까? 보고서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주요 글로벌 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한 ‘스마트시티 지수 2024’도 소개했다. ▲이동성 ▲보건 및 안전 ▲정부 서비스 ▲에너지&환경 ▲주거와 생활환경 5개 항목에서 구조적인 요소와 시민의 인식을 따지는 평가다.
평가 결과 1위는 스위스의 취리히, 2위는 노르웨이의 오슬로, 3위는 호주의 캔버라가 차지했다. 한국은 서울이 17위, 부산이 45위에 이름을 올렸다.
KOTRA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보고서는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국의 정책 및 기술동향, 진출 전략 등을 담았다’라며 ‘해외 스마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인프라 특성과 사업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