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올해 초 확정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까지 한국은 무탄소전원을 시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반도체 제조‧데이터센터 운용 등의 이유로 원자력 발전(이하 원전)의 비중을 늘여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으며, 이러한 기조는 정권이 바뀐 후에도 이어지고 있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새정부의 원전정책 방향과 쟁점’ 토론회의 발제자로 참석한 유진투자증권의 한병화 이사는 이러한 흐름에 대해 “세계 에너지 시장의 주류는 이미 재생에너지로 넘어가 있다”며 원전 확대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 이사는 ‘글로벌 원전 시장의 현실’이라는 발표를 시작하면서 “최근 ‘NASA가 달에 원전을 설립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내용이 보도가 된 일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국내 원전 관련 주식들이 크게 상승했었다”며 “보도 하나로 시장이 출렁일 정도로 원전 관련 분야는 거품이 심하다”고 지적했다.
이 자리에서 한 이사는 미국의 오바마 정부에서 발표한 ‘원전 르네상스’와 중국의 ‘원전 확대’ 계획이 실질적으로 실패했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재생에너지의 경우 기존의 연료에 비해 가격경쟁력은 월등하면서도 공기가 짧기 때문에 원전으로만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여겼던 영역의 대체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원전의 비중이 높아진 단초를 제공한 AI와 데이터센터 운용에 필요한 전력 역시 재생에너지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한 이사는 말했다.
“IEA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증가로 320GW이상의 추가발전용량이 설치될 전망인데, 재생에너지가 65%, BESS 14%, 가스발전 11% 순이었고 원전은 6%에 불과했다”고 언급한 한 이사는 “구글이나 AWS 등 대형하이퍼스케일 기업들은 ‘탄소중립과 청정에너지 100%’를 목표로 설정했으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와 배터리 확보를 최우선으로 삼고 차선으로 천연가스와 원전 순으로 채택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전 산업의 최신 기술인 SMR에 대해 한 이사는 “미국에서 관련 협약은 늘어나고 있지만 확정 계약은 없고, 원가경쟁력이 재생에너지에 비해 떨어져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미국에서 원전 발전량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대부분 기존 원전 활용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한 이사는 한국의 원전 산업에 대해 “EU의 파워플랜트 역할을 하고 있는 프랑스를 제외하면 한국의 원전 전력 비중은 전 세계에서도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며 “대형 원전 2기가 추가되고 SMR까지 포함하면 오히려 전력망의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