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AI·DX

‘2024 에듀플러스위크’ 개막, 인간·AI 공존 시대 맞아 교육해법 제시

‘2024 에듀플러스위크’ 개막, 인간·AI 공존 시대 맞아 교육해법 제시

김대은 기자 2024.08.08

에듀테크의 현주소와 교육산업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제15회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이하 에듀플러스위크)’가 8일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전시회는 15개국에서 200여 개 기업·교육기관·단체가 참가해 ▲..

국민 중 절반, AI 기술 경계보다 '기대'

국민 중 절반, AI 기술 경계보다 '기대'

김대은 기자 2024.08.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AI)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대국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 국민 중 57%는 AI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과기정통부 소..

고령화·노동인구 감소 어려움 겪는 축산업, ‘AI’가 구원투수로 나서

고령화·노동인구 감소 어려움 겪는 축산업, ‘AI’가 구원투수로 나서

김대은 기자 2024.08.07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타깃으로 ‘AI(인공지능) 돼지 임신 판정’ 기술을 개발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이하 축산원) 임기순 원장은 7일 농림축산식품부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술 개발 연구 성과를 공유했..

21세기 ‘장산범’, AI와 보이스피싱의 결합

21세기 ‘장산범’, AI와 보이스피싱의 결합

김대은 기자 2024.08.05

한국 도시전설에 ‘장산범’이라는 요괴가 있다. 자연의 소리와 다른 동물의 소리는 물론, 사람의 목소리까지 한번만 들으면 똑같이 흉내낼 수 있어 이를 이용해 산을 찾은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것이다.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은 이 장산범처..

[AI는 돈 먹는 하마?⑤]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AI 성장 제약

[AI는 돈 먹는 하마?⑤]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AI 성장 제약

전효재 기자 2024.08.05

인공지능(AI)이 기업과 산업, 사회를 변화시킬 혁신 기술로 자리 잡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막대한 투자비용을 수익으로 바꿀 핵심 기능이 아직 등장하지 않았고,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도 해결해야 한다. 반도체도 부족하다. 반도..



[AI는 돈 먹는 하마?④]충격적인 'AI 전력 청구서’

[AI는 돈 먹는 하마?④]충격적인 'AI 전력 청구서’

전효재 기자 2024.08.04

지금까지 골드만삭스(이하 GS)가 6월 발표한 ‘생성 AI:너무 많은 비용, 너무 작은 이익?(이하 보고서)’를 통해 인공지능(AI)을 둘러싼 회의론과 낙관론을 살펴봤다. 회의론자들은 빅테크 기업의 막대한 AI 투자가 수익으로 돌아오기 어려울 것이라..

[AI는 돈 먹는 하마?③]AI, 혁신 가능성은 열려 있다

[AI는 돈 먹는 하마?③]AI, 혁신 가능성은 열려 있다

전효재 기자 2024.08.03

세계 금융의 중심지 월스트리트에선 인공지능(AI) 기술이 ‘돈 먹는 하마’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빅테크 기업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지만, 이를 수익으로 전환할 핵심 기술이 없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이하 ..

[생성형 AI, 누가 제일 잘하나②] “여행가이드, 어떤 AI에 맡길까”

[생성형 AI, 누가 제일 잘하나②] “여행가이드, 어떤 AI에 맡길까”

김대은 기자 2024.08.02

→‘[생성형 AI, 누가 제일 잘하나①] “AI, 기후대응댐 후보지 알려줘”’기사에서 이어집니다. 무더위와 오락가락하는 폭우로 불쾌지수가 높은 지금은 여름의 한복판, 휴가철이다. 휴가에 앞서 준비해야 할 것은 휴가계획이다. 휴가지와 테마를 ..

[AI는 돈 먹는 하마?②]AI, 정말 쓸모 있을까?

[AI는 돈 먹는 하마?②]AI, 정말 쓸모 있을까?

전효재 기자 2024.08.02

인공지능(AI)이 기업과 산업·사회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떠오른 가운데 일각에선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AI에 투자한 막대한 비용을 회수하기 어렵고 성능도 과대 평가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구글은 지난 5월 ‘AI 검색..

[생성형 AI, 누가 제일 잘하나①] “AI, 기후대응댐 후보지 알려줘”

[생성형 AI, 누가 제일 잘하나①] “AI, 기후대응댐 후보지 알려줘”

김대은 기자 2024.08.01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중 널리 알려진 LLM(거대언어모델)기반 대화형 AI 챗봇은 사용자의 ‘개인비서’ 역할을 수행한다. 자연어 처리 능력으로 정확한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말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답변을 제공할 ..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