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지역본부 유치를 위한 제도정비 등 다각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KITA)에서 발행하는 트레이드 포커스의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거점 결정요인 분석 및 한국의 유치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환경 변화와 코로나19 확산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기업이 아시아 내 지역본부를 다양한 국가로 이전하고 있다. 이 같은 해외 거점이 설립되면 유치국의 경제활성화효과와 함께 국가 이미지 제고 등의 순기능도 있다.
하지만 글로벌 기업이 아시아의 거점 후보지 중 한국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비중은 3.5%로 낮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아시아에 지역본부가 소재한 글로벌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며,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거점 결정 요인으로 정치적 안정성, 거시경제 안정성, 치안 및 보안, 현지 시장규모 및 성장성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런데 한국은 글로벌 기업의 주요 아시아 거점국인 홍콩, 싱가포르 등에 비해 거점 설립시 중요한 조세제도를 비롯해 영어소통능력, 채용여건 등의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다.
이에 보고서는 한국의 글로벌 기업 아시아 거점 유치전략으로 ▲기업·생활환경 전반에 걸친 제도 정비 ▲한국의 장점과 우수한 기업·생활 환경에 대한 전략적 홍보 ▲ 사업설립 초기에서 중후반단계까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지원의 뒷받침 등을 통해 아시아 거점으로서의 절대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해 무역협회 신산업연구실 양지원 연구원은 본보와의 전화에서 “거점 유치전략 중 중장기적 지원 부분은 신규 기업을 유치하는 것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미 진출한 기업에 대한 부분”이라며, 기 진출 기업의 한국 내 이탈을 방지하고 증액 투자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추가적인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한 것이라고 했다.
또한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거점을 한국에 설립할 경우 한국의 제조업 부문와 연계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해외 스타트업을 유치하는 경우에도 한국 기업과 협업 등을 통해 기업을 성장시키는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