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AI·DX

[AI는 돈 먹는 하마?①]AI, 돈이 될까?

[AI는 돈 먹는 하마?①]AI, 돈이 될까?

전효재 기자 2024.08.01

“인공지능(AI)을 확보한 기업과 없는 기업, AI 전환에 성공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은 향후 생산성과 기업 성패에 중대한 차이가 발생할 것입니다” 한창용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책컨설팅센터장은 지난 2월 ‘2024년 글로벌 환경 변화와..

[EU AI법으로 보는 K-AI법②] EU의 AI법이 한국에 전하는 도전과제

[EU AI법으로 보는 K-AI법②] EU의 AI법이 한국에 전하는 도전과제

김대은 기자 2024.07.31

→‘[EU AI법으로 보는 K-AI법①] AI 혁신 vs 규제, 균형점을 찾아야’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유럽연합의 AI법(EU AI Act)은 AI(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AI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의 필요성에 따라 제정됐다. 이 법은 AI 서비스..

[EU AI법으로 보는 K-AI법①] AI 혁신 vs 규제, 균형점을 찾아야

[EU AI법으로 보는 K-AI법①] AI 혁신 vs 규제, 균형점을 찾아야

김대은 기자 2024.07.30

세계 최초의 포괄적 AI(인공지능) 규제법이라고 평가받는 유럽연합의 AI법(EU AI Act)이 7월 12일 EU 관보(Offical Journal)에 게재됐다. 8월에는 이 법이 발효되고, 2026년에는 전면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우리 일상에 녹아들고 있는 AI는 글로..

NIA, K-AI 법 논의하는 세미나 개최…“한국, AI 시대 맞아 정보화 초심으로 돌아가야”

NIA, K-AI 법 논의하는 세미나 개최…“한국, AI 시대 맞아 정보화 초심으로 돌아가야”

김대은 기자 2024.07.29

전 세계가 AI(인공지능)의 영향력을 체감하며, 그 변화를 수용하려는 노력과 함께 AI를 규율하는 입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 상황에 알맞은 인공지능 법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학습·운영비 낮춘 sLLM, 보안업계 주목”

“학습·운영비 낮춘 sLLM, 보안업계 주목”

전효재 기자 2024.07.28

거대 언어 모델(LLM)보다 학습·운영 비용이 적은 경량화 언어 모델(sLLM)이 보안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임완택 코난테크놀로지 상무는 26일 용산구 로얄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구축 성과 공유회’에서 보안 분야의 생성..



[포토뉴스]“AI, 보안 취약점 알아서 개선하고 보고서까지 작성”

[포토뉴스]“AI, 보안 취약점 알아서 개선하고 보고서까지 작성”

전효재 기자 2024.07.27

인공지능(AI)이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사이버 위협 데이터를 학습한 거대언어모델(LLM)이 보안 작업을 자동화한다. 김호원 부산대학교 교수는 26일 용산구 로얄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구축 성과 공유회..

스마트팜 데이터, ChatGPT가 분석하고 운영 도와줘

스마트팜 데이터, ChatGPT가 분석하고 운영 도와줘

김대은 기자 2024.07.27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ChatGPT가 스마트팜 운영 지원에 활용되고 있다.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4 농식품 테크 스타트업 창업 박람회(AGRI & FOOD TECH STARTUP RISING EXPO 2024, AFRO 2024)’에서 자연어 AI 챗봇을 활용한 스마트팜 ..

AI 업고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대응에도 AI 필수”

AI 업고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대응에도 AI 필수”

전효재 기자 2024.07.26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공격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사이버 보안 분야도 AI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최보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AI위협데이터대응팀 선임연구원은 26일 용산구 로얄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지난해 AI 보안 데이터셋 6억 건 구축…“국내 기업 보안 역량 강화”

지난해 AI 보안 데이터셋 6억 건 구축…“국내 기업 보안 역량 강화”

전효재 기자 2024.07.26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사이버 공격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사이버 위협이 일상화, 대규모화되는 가운데 기존 보안기술을 우회하고 무력화시키는 신·변종 위협도 늘어나는 추세다. 나날이 복잡해지는 사이버 공격에 AI를 활용해..

한국 노동시장 일자리 340만 개, AI 대체 가능성 높아

한국 노동시장 일자리 340만 개, AI 대체 가능성 높아

김대은 기자 2024.07.16

AI(인공지능) 신기술이 기존의 로봇·소프트웨어와 달리 고소득·고학력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 직업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오삼일 고용분석팀장은 '인구구조 변화, 다가오는 AI시대의 새로운 노동 패러..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