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최시영"에 대한 검색결과입니다.
뉴스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적신호 켜졌다
최시영 기자 2016.08.05올해 상반기 러시아 자동차 산업이 좀처럼 기지개를 켜지 못하고 있다. 경제지표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자동차 수요는 여전히 위축돼 있다. KOTRA 모스크바 무역관에 따르면 경제 침체는 2013년부터 시작돼 지난해..
지난해 영국 자동차 생산량 최대 기록
최시영 기자 2016.08.04지난해 영국 자동차 생산대수는 168만대로 2007년 이래 최대 생산량을 기록했다. 브렉시트 이후 유럽연합(이하 EU) 단일시장 진입 문제가 업계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영국 자동차산업협회 SMMT(The Society of Moto..
스위스 스타트업 활성화 시작됐다
최시영 기자 2016.08.04스위스 스타트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스타트업 활성화로 스위스 벤처 투자금 유치를 위한 한국 스타트업들의 적극적인 행보가 요구 된다. KOTRA 취리히 무역관에 따르면 현재 스위스 스타트업 지원 중 공공부문의 경우 ..
독일 디지털 혁신, 한국에 어떤 영향 미치나?
최시영 기자 2016.08.04독일이 디지털 혁신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려 한다. 이로 인해 한국이 제조업 혁신과 더불어 신시장 창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에 따르면 최근 독일 내에서는..
유럽 철강 업체, 아시아산 철강제품 수입증가 불만
최시영 기자 2016.08.03유럽연합(이하 EU)이 철강로프·케이블 관련, 중국 반덤핑 우회수출 제외업체 리스트를 수정했다. KOTRA 브뤼셀 무역관에 따르면 지난 19일 유럽연합(이하 EU) 집행위원회(이하 집행위)는 철강로프 및 케이블 품목 관련 중국 우회수..
한·중FTA로 중국 수출·수입 증가
최시영 기자 2016.08.03한·중FTA가 발표된 지 6개월이 지났다. 한·중FTA 이후 대중 수출은 115%, 수입은 49% 증가했다. KOTRA 톈진 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수출입 교역이 대폭 늘어났다. 한·중 FTA 발효 이후 관세 철폐로 중국 수출이 증가했으며 관세가..
러시아-중국, 밀회 본격화
최시영 기자 2016.08.03브렉시트 소용돌이 속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밀회가 본격화 된다.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에 급증하는 기계설비류 수요를 중국이 채우고 있다. KOTRA 모스크바 무역관에 따르면 브렉시트 결과로 전 세계가 혼란스러웠던 상..
한국, 일본 내 특허출원 상위권 유지
최시영 기자 2016.08.03한국이 일본 내 특허출원 중 세계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12년 연속 일본 특허 출원 국가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의 출원건수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KOTRA 도쿄 무역관에 따르면 일본 특허청에서 발간한 ‘STATUS RE..
국내 IT 기업, 이스라엘로 눈 돌려라
최시영 기자 2016.08.03이스라엘이 세계 각국의 IT 기업의 투자진출 확대를 위한 워킹비자를 발급한다. 이에 비자 취득이 용이해져 이스라엘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KOTRA 텔아비브 무역관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가 해외 IT 기업에 이스라엘 진출을 위한..
온세미컨덕터, 자동차용 직접 모듈 제품군 확대
최시영 기자 2016.08.02온세미컨덕터가 STK984-190-E를 출시해 자동차용 파워 집적 모듈 제품군을 확대했다. 최신의 자동차 모델에서 3상 브러쉬리스 모터를 구동하도록 최적화된 이 모듈은 40V, 30A의 상위 역 배터리 보호 MOSFET를 추가해 3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