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정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조선업 밀집 5개 시·도 관계자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이 참여하는 ‘제1차 조선산업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1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했다.
산업부는 지난 3월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를 출범하며 산업부와 조선사 간 원팀을 구성한 바 있다. 이번 협의회를 통해 조선산업 현장과 밀접한 5개 지자체까지 참여하면서 조선산업 민·관 협력 채널을 완성했다는 평가다.
이날 협의회에서 산업부는 올해 조선산업 주요 정책 방향을 설명했고, 지자체는 다양한 건의와 현장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특히 내년도 신규사업 국비지원 예산 반영, 인력수급의 어려움 및 외국인 인력 쿼터 확대, 중형조선사 금융지원, 친환경선박 및 대체연료 관련 규제 개선, 자동화장비 보급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건의했다.
산업부는 이번에 신설된 협의회를 매 분기별로 정례화해 개최할 계획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행사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조선업이 호황이라는 말이 있지만,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개선해야 할 숙제나 지역별 문제가 아직 많은 상황”이라면서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만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이 자리가 뜻깊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조선업 뿐 아니라 다른 국가 중요산업 분야의 협의 채널도 만들어졌으면 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