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자율주행과 UAM, 하이퍼튜브 등 미래 모빌리티 글로벌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역량을 총결집하자는 제언이 나왔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장을 지낸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손봉수 교수가 29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혁신의 플랫폼, 미래모빌리티 지속가능한 발전과 정책 방안 세미나’의 발제자로 나섰다.
‘‘혁신의 플랫폼, 미래모빌리티’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한 그는 “1차, 2차, 3차 산업혁명을 거치며 등장한 자동차와 비행기 등 교통수단의 혁신은 우리 사회와 삶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라며 “현재 펼쳐지는 4차 산업혁명은 최첨단 기술을 앞세워 그 어느 때보다 획기적인 변화를 이루며 ‘모빌리티 대변혁의 시대’를 주도하고 있다”라고 운을 뗐다.
손 교수는 “매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모빌리티의 무대로 변모하고 있다”라며 “2022년 열린 CES는 ‘자동차를 전시한 삼성전자와 소니, 자동차를 전시하지 않은 현대자동차’로 요약할 수 있을 정도로 IT 기업들의 모빌리티 진출 선언의 흐름이 거셌고, 업종 간 경계가 허물어졌음을 보여줬다”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세계 산업계는 모빌리티로의 ‘권력 이동’이 일어나고 있다”라고 단언하면서 “내년부터는 모빌리티의 급진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정부와 관련 기업들은 한결같이 입을 모으고 있다”라고 전했다.
“미래 모빌리티는 사람과 물류를 이동시키는 단순한 운송 수단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의 요구와 우리 삶의 가치를 담아내는 가치의 움직임으로 변하고 있다”라고 말을 이은 그는, “미래 모빌리티를 ‘움직이는 데이터센터’라고 정의하고 한다”라고 밝혔다.
손봉수 교수는 “커넥티드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AI로 분석하는, 최첨단 기술의 결정체”하고 해설하며 “첨단 기술의 혁신적 아이디어가 결합한 미래 모빌리티는 인류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이동 방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10년간 모빌리티 산업은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에서 다양한 서비스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운영 전반으로 확대됐고, 이는 다시 하드웨어의 요구 사항으로 순환됐다”라며 “이러한 산업 트렌드의 변화를 ‘플랫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플랫폼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소비자와 연결해 미래 모빌리티의 생태계를 재편하는 중심수단으로,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향상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시장 경제를 주도해 나간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플랫폼 중심의 생태계를 주도하는 주체가 세계시장과 기술 패권을 장악하게 되며, 이는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된다는 말이다.
“현재 한국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현주소는 어디일까”라고 질문한 손 교수는 “미국, 중국, 일본, EU와 비교해 보면 한국은 주요국 대비 84% 수준에 머물러 있다”라고 분석했다.
모빌리티 기술의 최고국은 미국이다. EU는 97.5%, 중국 86.3%, 일본 85.8% 순으로, 한국은 주요국 중 가장 최하위 수준이다.
손봉수 교수는 “반도체나 이차전지는 우리나라가 최고 수준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반면, 모빌리티는 뒤처져 있다”라며 “그러나, 충분히 격차를 좁힐 수 있다고 자신한다”라고 했다.
이어 “한국은 선진국에 비해 늦게 경제적 성장을 이뤘음에도 탄탄한 IT 기술과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대며 “글로벌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가지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국가 인프라의 문제점으로 ▲최고급 인재·숙련된 엔지니어 층 약화 및 두뇌 유출 만성화 ▲국가 R&D 기술 이전·사업화 실적 정체 ▲부처 간 장벽으로 인한 과도한 행정규제를 꼽았다.
손 교수는 “과학기술주권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적 생존의 문제”라며 “차세대 국가전략기술이 산업까지 신속하게 연결돼 우리 산업과 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국가 경쟁력에 직결되는 미래 기술에 대한 관리 시스템을 확충하고, 인재 육성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라는 제안과 함께, “범부처 협력 R&D 추진 체계를 확립해, 전략 로드맵 중심으로 국가 전략기술에 대한 성과관리를 시행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