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X
연기 감지 3초 이내 경보 전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막는다
임지원 기자 2025.08.02전기차 화재 대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터리 열폭주를 막을 '골든타임'확보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달 30일부터 진행 중인 ‘2025 코리아빌드위크’ 현장에서는 이를 위한 첨단 화재 대응 솔루션이 소개됐다. 이 시스템은 화재 감지부터 ..
"청소·복귀까지 완벽하게"…세림로보틱스, AI 청소로봇 시연
임지원 기자 2025.07.30'2025 코리아빌드위크'에서 서비스 로봇 전문 기업 세림로보틱스의 스마트 청소 로봇과 물류 로봇 등이 시연돼 참관객의 눈길을 끌었다. AI 기반 청소 로봇 '스위피'는 바닥 쓸기, 진공 청소, 물걸레질, 물청소 등 4가지 청소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
[AI 기본법의 길②] 사전 규제보다는 ‘투명성’ 중심으로 접근해야
김대은 기자 2025.07.29▶‘[AI 기본법의 길①] 시행 전부터 ‘개정론’ 대두…“한국, AI 규범 선도국 아냐”’기사에서 이어집니다 AI 기본법, 시행 전부터 개정 목소리 나오는 이유 “유럽연합의 AI 법(EU AI Act)가 없었어도, 대한민국이 AI(인공지능) 기본법을 제정했..
[AI 기본법의 길①] 시행 전부터 ‘개정론’ 대두…“한국, AI 규범 선도국 아냐”
김대은 기자 2025.07.29AI(인공지능)는 우리 일상의 동반자로 자리 잡으며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은 이러한 AI의 잠재력을 발휘시킴과 동시에 기술 악용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는 한국 AI 산업의 기준점으로 마련됐다. ..
“AI 기본법, 산업 육성에 초점 맞춰 운영한다”
김대은 기자 2025.07.28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인공지능) 기본법을 규제보다는 진흥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는 입장이 나왔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정책 토론회’에 토론자로 나섰다. 그는 “EU가 AI 법안의..
“AI 기본법, ‘4중 중복·과잉 규제’…규제 완화 넘어 정밀 설계 필요”
김대은 기자 2025.07.28“AI(인공지능) 기본법은 규제 완화가 아니라, 규제의 체계화·합리화가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박상철 교수가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정책 토론회’에서 ‘AI 산업적 특성을 반영한 AI 기본법 규제안, 개정 필요성과 방향’을 ..
“AI, 다층 생태계…‘AI 기본법’ 하나로 규율 어려워”
김대은 기자 2025.07.28“AI(인공지능) 시대 산업 진흥을 위한 인프라, 특히 스타트업이 실험적인 도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천대학교 전성민 교수가 28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K-AI 생태계③] “소버린 AI 생태계, 핵무기 보유만큼 중요”
김대은 기자 2025.07.27▶‘[K-AI 생태계②] ‘AGI’ 소설, 네이버 웹소설 베스트리그 도달’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K-AI 커뮤니티 서밋 2025’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연사로 나서, 한국 AI 정책 방향에 관해 설명했다. ‘소버린 AI..
[K-AI 생태계②] ‘AGI’ 소설, 네이버 웹소설 베스트리그 도달
김대은 기자 2025.07.26▶‘[K-AI 생태계①] 한국 개발 AI, 글로벌 AI 커뮤니티 TOP 12 선정’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일반지능)가 등장할 정확한 시기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AGI가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오픈프리AI의 김..
AI 시대, 헌법은 그대로…"과학기술, 더 이상 경제 수단 아니다"
임지원 기자 2025.07.25인공지능(AI), 생명공학, 빅데이터 등 과학기술이 촉발한 신기술의 등장은 우리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핵심적인 헌법 가치와 상충하고 있다. 이에 헌법 내 과학기술의 위상을 재정립 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