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2022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전년 대비 7.8% 성장 전망
김원정 기자|sanup20@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022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전년 대비 7.8% 성장 전망

클라우드 보급…산업 전방위적으로 확산

기사입력 2022-10-25 11:57:5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022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전년 대비 7.8% 성장 전망

[산업일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이 5년간 연평균 6.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6년에는 9조1천37억 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이다.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미래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은 전망을 포함해 올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이 7조1천489억 원의 시장 규모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디지털 퍼스트 전략을 중심으로 기업의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유연한 접속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 활용 및 주권을 확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도입이 증가하며 해당 시장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소프트웨어 시장을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D&D(Application Development & Deployment), SIS(System Infrastructure Software)로 구분해 분석과 전망을 제공했다.

2022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전년 대비 7.8% 성장 전망

이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비대면 업무 환경의 확산으로 팀 협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워크플로우 및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HCM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확대로 전년 대비 7.4%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SIS 시장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이 확대되면서 가상화 컴퓨팅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 확대 및 데이터 보안에 취약한 핀테크 스타트업 및 중소 규모 기업 중심으로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 유출, 해킹 등 사이버 보안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 솔루션 도입이 확대되면서 해당 시장은 전년 대비 7.6%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AD&D 시장이 제조, 유통을 중심으로 5G/클라우드/엣지 기술을 활용한 IoT 활용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및 인공지능(AI) 가속기로 인한 데이터 처리 수요 증가 및 IT 환경을 관리하는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전년 대비 10.4% 성장을 이룰 것으로 바라봤다.

또한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방해 요인으로 경기 불확실성의 확대를 들었다. 또한 기업의 IT 환경 현대화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오픈소스 활용의 활성화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일부 소프트웨어를 대체하거나 축소하며 소프트웨어 시장 성장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제조기업 강국이 되는 그날까지, 공장자동화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뉴스를 기획·심층 보도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