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스] 해상 운임 폭등·선복 부족, 중소기업 절반 이상 경영 애로 겪어](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4/07/16/thumbs/thumb_520390_1721120169_22.jpg)
[산업일보]
해상 운임이 급격히 상승하고 선복이 부족해지면서 한국 수출 중소기업 대다수가 경영 애로를 겪고 있지만, 이들은 물류 관련 정부의 지원책을 ‘몰라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수출 중소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해상 운임 급등 및 선복 부족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 영향’을 조사했다.
해상 운임 상승과 선복(컨테이너 선적 공간) 부족 현상은, 작년부터 이어진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 공격 사태와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등의 영향이 크다. 중기중앙회는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수출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최근 수출 물류와 관련해 ‘경영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300개 사 중 54.3%(매우 그렇다 21%, 다소 그렇다 33.3%)였다. 주요 애로사항은 ▲과도한 운임요구(79.1%) ▲운송 지연(34.4%) ▲선복 확보 곤란(27.6%) ▲컨테이너 부족 (19%)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상당수는 물류 애로사항의 지속기간을 ‘2025년 상반기 이후(41.4%)’까지로 예상했다. ‘2024년 4/4분기(30.7%)’ 또는 ‘2025년 2/4분기(12.9%)’를 내다보기도 했다.
중소기업 중 96%는 포워딩 업체 등을 통해 해상 운송을 계약하고 있었다. HMM, 머스크와 같은 대형 선사와 직접계약은 4%에 불과했다. 계약형태 역시 ‘건벌계약(포워딩 업체 등 93.8%, 대형 선사 83.3%)이 대다수였다.
주로 이용하는 선사는 SM상선을 비롯한 국내 선사(55.3%)였고, MSC와 같은 외국 선사는 25.7%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래픽뉴스] 해상 운임 폭등·선복 부족, 중소기업 절반 이상 경영 애로 겪어](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4/07/15/thumbs/thumb_520390_1721008738_63.jpg)
수출 물류 관련 경영 애로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선 ‘특별한 대책 없음(37.7%)’ 응답이 가장 높았다. 대응책을 수립한 중소기업 중에서는 ‘정부 지원책 활용’이 32.7%로 다수였고, ‘제품 가격 인상’이 17%, ‘바이어와 거래조건(FOB, CIF) 변경’이 8% 등이었다.
물류난 해소를 위해 이용 중인 정부지원 정책으로는 ‘물류 바우처(34.7%)’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무역보험 특별지원(6.3%)’, ‘중소기업 전용 선복 지원(2.7%)’ 정책을 사용하는 기업도 있었다.
단, 정부지원 정책을 이용하지 않는 기업은 300개 사 중 59.3%에 달했는데, 지원책에 대해 몰랐다는 경우가 55.1%였다.
![[그래픽뉴스] 해상 운임 폭등·선복 부족, 중소기업 절반 이상 경영 애로 겪어](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4/07/15/thumbs/thumb_520390_1721008741_88.jpg)
수출 중소기업들은 향후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 정부가 ‘물류비 지원 확대(82.3%)’에 가장 힘써야 한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 전용 선복 지원 확대(22.3%)·대출 상환 기한 연장 등 유동성 지원(14%)·정부 지원책 홍보 강화(9.7%)·주유국향 선박 투입 확대(6%)·물류난으로 인한 분쟁조정 지원(4.7%) 등의 정책이 그 뒤를 이었다.
중기중앙회는 조사결과 보고서에서 ‘물류관련 애로사항으로 ▲물류바우처 사용이 제한적 ▲지원정책의 실효성 부족 ▲외국선박의 높은 이용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내 기업 지원 사업에 많은 제한 등의 의견이 있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현장 수요가 높은 물류비 지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등 중소기업 수출 회복세가 꺾이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