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신소재
[5월 20일] 미국 국채금리 5% 돌파…구리 ‘공급 부족’에도 약보합, 납 재고 급증에 급락(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22글로벌 비철금속 시장이 미국 재정 불확실성과 금리 급등 영향으로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 속에 혼조세를 보였다. 특히 구리는 공급 부족 전망에도 불구하고 약보합세로 마감했고, 납은 재고 급증 여파로 하락했다. 22일(현지시간) 구리는 장중 상승..
[5월 20일] 관세 불확실성과 中 공급 증가에 비철금속 시장 혼조(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21글로벌 비철금속 시장이 미·중 무역정책 불확실성과 중국의 생산 증가, 그리고 연준의 매파적 발언이 교차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주요 금속 가격은 장중 약세 흐름을 보였으나, 미국 증시 반등의 영향으로 일부 품목이 낙폭을 만회하며 상승 전환했다..
[5월 19일] 알루미늄 재고 급증에 가격 하락…무디스 충격에 달러 약세, 구리 강세(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20비철금속 시장이 금일(20일) 금속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알루미늄은 전일 대비 1.2% 하락하며 약세를 주도했다. LME 알루미늄 시장에서는 Cancelled Warrant(출고 예정 물량)가 급감하면서 On-Warrant(가용 재고..
[5월 16일] 트럼프 관세 예고에 구리 가격 급락…中 수요 둔화로 비철금속 전반 하락(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9비철금속 시장이 일제히 하락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는 전 품목이 내림세를 기록했으며, 특히 구리 가격은 중국의 수요 둔화 신호에 압박을 받는 모습이다. JP모건은 “톤당 9,500달러를 상회하는 구리 가격은 중국의 가격 민감성에 다시 ..
[5월 15일] “뉴욕증시 하락 전환…구리 수요 둔화·美 PPI 급락 여파”(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6뉴욕증시가 최근 급등세 이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미·중 관세 유예에 따른 기대감이 약화된 가운데, 비철금속 시장도 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 압력을 받았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
[5월 14일] 달러 약세·미중 관세 유예에 원화 강세…구리·알루미늄 가격 혼조세(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5LME 비철금속 시장은 품목별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호조에 따른 달러 약세가 금속 가격을 지지했으나, 미국의 구리 수입에 대한 관세 조사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5월 13일] 미국 4월 CPI 둔화에 시장 혼조…비철금속은 투자심리 개선에 강세(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4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를 보였지만, 뉴욕 증시는 장 초반 혼조세로 출발했다. 시장은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완화 기대와 함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재평가하며 방향성 없는 흐름을 보..
[5월 12일] 뉴욕증시, 미중 관세 인하에 급등 출발…나스닥 개장 초 3%대 상승(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3미국과 중국이 상호 수입 관세를 대폭 인하하고 무역전쟁 종식을 위한 합의에 도달하면서, 뉴욕증시는 개장과 동시에 급등세를 보였다. 양국은 12일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연합 성명’을 통해 관세를 단계적으로 낮추기로 합의했으며, 이에 따라 ..
[5월 9일] 트럼프 “중국산 제품에 80% 관세 적절”…(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12비철금속 시장에서 구리 가격은 지난 주말 예정된 미·중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의 3개월물 구리는 전일 대비 유의미한 변동 없이 보합세를 이어갔으며, 단기적인 수급 타이트 현상이 시장의 주요 ..
[5월 8일] 트럼프 “중국과 협상이 잘 된다면 관세 인하 가능”(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5.098일 비철금속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다. LME 거래소의 3개월물 구리 가격은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소폭 반등했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변동 없이 제한된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