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범국가적 정책이다.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게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68%가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상황에서 제로에너지 건축 정책 방향, 기술 등에 대한 논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30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1동에서 열린 2022년 제2차 생태도시포럼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정책방향’을 주제로 제로에너지 건축 정책, 건축물 사례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강재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위원은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정책 시행에 따른 현황과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전체적인 로드맵은 10년 전에 본격적으로 시작해 연착륙했다”며 “중앙정부는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를 공공 건물의 경우 내년부터, 민간 건물은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선임위원은 2025년 예정이었던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가 공공과 민간 부분에서 앞당겨진 것은 한국의 건축 자재와 건설 기술이 성숙 단계 들어섰기 때문이라고 봤다. 최근 5~6년 동안 많은 기술 개발이 이뤄져 상당 부분에서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녹색 건축물이라고 말한 강 선임위원은 제로에너지 건축 관련 기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발표에서 그가 언급한 내용은 벽체 지붕에 대한 단열 기술,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고성능 창,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 등이다. 아울러 건물 옥상에서의 태양광 발전으로 에너지 자립을 일정 부분 이루고 있는 사례를 소개했다.
한편, 이번 행사를 주최한 생태도시포럼 운영위원회의 허영록 운영위원장은 영상을 통해 지속가능한 인류 발전을 위해 의식 전환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 모든 영역에서 변화를 만들어야 하는 시점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와 관련해 “기존 도시 시스템을 심각하게 재고해 근본적인 정비를 해야된다”며 “특히 인구가 집중된 도시 내 주거 지역, 상업 지역 등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의식으로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