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하이퍼클로바X’를 24일 출시한 네이버가 고도화된 B2B 서비스와 활용 전략을 함께 공개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2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23’에서 대화형 AI '클로바X', 기업용 AI 플랫폼 ‘커넥트X’, 비즈니스 AI 개발도구 ‘클로바 스튜디오’를 소개했다.

그는 “하이퍼클로바X의 네이버 서비스 연계와 외부 확장성을 갖추고, 개인과 기업의 다양한 요구에 최적화할 기술도 준비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클로바X는 대화형 AI 서비스다. 질문과 답변에 그치지 않고 문서 기반의 대화도 가능하다. 자기소개서 파일을 올리면 이를 분석해 면접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식이다. 사용자의 답변에 꼬리를 물고 연결 질문도 제시한다.
성낙호 기술 총괄은 “클로바X는 한국 문화와 맥락을 잘 이해하는 대화형 AI 서비스”라면서, “많은 사용자가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커넥트X는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플랫폼이다. 메일, 메신저 등 여러 업무 툴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업무들을 커넥트X가 자동으로 취합해 목록을 작성하고, 실행 계획도 추천한다.
원하는 문서를 AI와 대화해 찾고,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보고서 초안도 작성한다. 메일 답장도 대화 맥락을 분석해 제안한다. 코딩‧디자인‧기획 등 직군별 어시스트 툴도 제공할 예정이다.
성낙호 총괄은 “업무 탐색, 문서 작성, 전문 작업, 일정 정리 등 분산된 업무 환경을 통합해 회사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클로바스튜디오는 비즈니스 최적화 AI 개발도구다. 기업의 자체 데이터셋을 이용해 특화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등 백과사전 데이터로 초등학생 대상 과학 교육 챗봇을 만드는 것이다.
성 총괄은 “모두가 AI를 쉽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일상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면서,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을 연결해 AI가 모두의 경쟁력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