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환경(Environmental, E) 분야에 치중한 국내 기업의 ESG경영 방향을 사회(Social, S)와 지배구조(Governance, G)까지 적극 확장하고, 노동조합이 기업 ESG에 더 활발히 참여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ILO 관점에서 본 ESG 경영과 임금보호를 위한 제95호 협약의 필요성’ 정책토론회가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됐다.
발제자로 참석한 강충호 아주대학교 융합ESG학과 교수는 “국내 ESG경영 수준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정작 인권과 환경을 개선시키는 ‘사회(S)’영역과 이를 추동하는 ‘지배구조(G)’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ESG의 ‘S’는 기업을 비롯한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책임’은 조직이 준수해야 할 의무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일정한 불이익을 받는 개념이다. 이행해도 좋고 안 해도 상관없는 사회공헌활동과 구분되는 것이다.
강충호 교수는 “세계 ESG 평가기관과 ESG 공시 기준의 대표격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노동이슈’를 사회(S) 항목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면서 “ESG 대응 과정에서 노동기본권을 비롯한 노동이슈를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것은 큰 허점”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배구조(G)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노동이슈로 ‘노동이사제’를 꼽았다. 노동이사제는 기업 이사회에 노동자 대표를 포함시켜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으로, 폭넓은 의사결정을 가능케 한다.
강 교수는 “기업 차원의 ESG 대응에 노동조합이 적극 참여해야 한다”면서 “노동자가 가장 직접적인 피해당사자가 될 수도 있는 만큼, ESG가 노동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인식하고, 대응 방안을 고민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