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진 속 정유산업은 친환경 원료 이용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2024.1.9)하며 친환경 연료 활성화를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됐다.
다만 국내 정유산업이 미국, 일본 등 세계 주요국보다 원재료 확보, 생산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뒤쳐진 상황인 만큼, 바이오연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연구자 의견이 나왔다.
김태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실 실장은 16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9회 자산어보(자동차 산업을 어우르고 보듬다)’ 행사에서 ‘친환경 석유 대체연료 산업 동향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은 크게 세 가지다. ▲연료 원료의 친환경 대체 ▲에너지 효율 개선 ▲저탄소제품 생산이다.
김태환 실장은 “석유제품 수요가 줄어 정유산업의 부가가치도 떨어지고 있지만, 산업 저탄소화에 많은 비용이 들어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정유업계는 2040년 대체연료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 로드맵을 그렸다. 산업부도 2022년 ‘친환경 바이오연료 확대 방안’을 발표해 차세대 바이오연료 도입, 바이오 항공·선박유의 국내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 뒤쳐져 있다는 평가다. 미국과 유럽은 이미 기존 석유 정제·운송·저장 인프라를 사용해 경제적으로 저탄소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코프로세싱(Co-processing)’ 방식으로 다양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 확보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김 실장은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려면 폐식용유, 동물성 유지 등 원료를 안정적으로 수급해야 하지만, 현재 원료 국산화 비율이 28%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수입 폐식용유 가격이 새 식용유 가격보다 비싼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항공·해운 등 타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도 바이오연료 생산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국내 정유산업이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