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한국이 미국·중국 등 인공지능(AI) 선도국을 따라잡기 위해 AI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양희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는 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 디지털 정책포럼’에서 “국내 AI 생태계는 AI 연구와 모델, 클라우드 등 공급자 관점에 치중됐다”면서 “앞으로는 AI 수요기업을 중요시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AI 수요기업은 AI 모델로 서비스를 개발해 최종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한다. 양희동 교수는 “AI 서비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큼, AI 생태계도 기술 개발에서 전방 산업 기업 중심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AI 생태계 전반은 반도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네트워크, AI 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구조”라면서 “시장을 관망하던 AI 수요기업이 매력적인 AI 서비스를 개발하면 산업계 전반의 혁신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기술 혁신 ▲AI 산업 경쟁력 강화 ▲인재 양성 ▲글로벌 협력 ▲규제 개선 및 윤리적 AI 구축 등이다.
양 교수는 “한국은 반도체 산업과 5G 인프라, 제조업에 강점이 있고, 정부 차원에서 AI반도체·로봇·의료 AI 분야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면서 “AI 반도체·스마트 제조·헬스케어 AI·5G기반 AI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강점을 살려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