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신소재
[7월 9일] 트럼프, 구리 50% 관세 발표…COMEX 급등·LME 횡보에 시장 차익거래 움직임(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109일 LME 비철금속 시장은 혼조세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에 50% 수입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COMEX 구리 가격은 급등한 반면 LME 가격은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따라 LME 대비 COMEX 구리 가격 프리미엄은 27% ..
[7월 8일] 비철금속, 달러 약세에도 경기 우려에 보합…구리 수요 감소 부담(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98일 비철금속 시장은 달러 약세에 힘입어 상승세로 출발했으나, 관세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면서 장중 보합세로 전환됐다. 트레이더들에 따르면 구리 가격은 장 초반 상승했지만, 관세 이슈에 따른 경기 둔화 전망과 재고 증가로 상승 폭..
[7월 7일] 비철금속, 미국 관세 경고에 약세…구리 재고 7년 만에 최고치(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87일 비철금속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구리는 지난주 톤당 1만20.5달러까지 상승한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정부가 7월 9일까지 더 높은 관세율을 통보하고 8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7월 4일] 비철금속, 관세 협상 우려에 일제히 하락…구리 톤당 9,860달러(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74일 비철금속시장은 6대 품목 모두 약세로 마감했다. 독립기념일 휴일로 미국 투자자들은 부재했으나, 투자자들이 미국의 관세 협상 상황을 주시하며 매도세가 우세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가 8일 종료될 예정인 가운데, 아직 무역 합..
뉴욕증시, 고용지표 충격에도 금리인하 기대…구리·비철금속 가격 상승(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3뉴욕증시는 민간 고용 감소 충격에도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무역 협상 진전 소식에 힘입어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비철금속 시장도 Comex 구리 급등을 중심으로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국 뉴욕증시는 6월 민간 고용 감소 소식에 약보합 출발했다..
[7월 1일] 뉴욕증시, 사상 최고치 후 숨 고르기…구리 $10,000 돌파(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2뉴욕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숨 고르기 장세를 나타냈다. 이날 3대 지수는 모두 약세로 출발했으며, 전일 상승세를 이끌었던 나스닥과 S&P지수도 소폭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대규모 감세안과 주요 국정 과제가 담긴 법안이 ..
[6월 30일] 뉴욕증시 강보합 출발…트럼프 관세 발언·금리인하 기대 교차(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7.01올해 상반기 마지막 영업일인 이날 뉴욕증시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을 주시하며 강보합으로 출발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유예 연장 대신 각국에 관세율이 포함된..
[6월 27일] 구리, 9천900달러 돌파 후 차익실현…금값은 미중 무역합의에 2% 급락(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6.3027일 비철금속 시장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구리(Copper)는 달러 약세와 공급 불안 속에 톤당 9천900달러를 돌파했지만,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과 중국 경기 지표 부진으로 조정을 받았다. 알루미늄과 아연도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주석은 강세를 ..
[6월 26일] 나스닥, 기술주 랠리 힘입어 20,000선 돌파…파월 연준 의장 발언 주목(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6.27비철금속 시장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구리 가격이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톤당 9천900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달러 약세, 공급 불안, 기술적 매수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알루미늄은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상승폭이 제한됐으며..
[6월 25일] 파월 발언 앞두고 금리 인하 기대…구리 프리미엄 급락(LME Daily)
임성일 기자 2025.06.26비철금속 시장이 혼조세를 보였다. 구리는 이란-이스라엘 간 휴전 소식과 달러 약세로 상승했고, 알루미늄은 지정학적 랠리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세로 돌아섰다. 특히 시장의 이목은 LME 구리 현물 프리미엄 급락에 집중됐다. 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