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안) 전년 대비 10.37%↑
이종수 기자|jslee050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안) 전년 대비 10.37%↑

현실화율 65.5%→68.4%로 2.9%p 제고

기사입력 2020-12-24 09:14:5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안) 전년 대비 10.37%↑

[산업일보]
2021년 표준지 공시지가(안) 변동률은 전국 10.37%로 조사됐다.

시‧도별로는 세종 12.38%, 서울 11.41%, 광주 11.39%, 부산 11.08%, 대구 10.92% 등으로 변동되며, 서울의 경우 올해 보다 3.5%p 정도 변동폭이 커졌다. 하지만, 지난해 보다는 2.4%p 낮은 수준이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1월 1일 기준, 표준지 52만 필지의 공시지가(안)에 대해 소유자 열람 및 의견청취 절차를 다음달 12까지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2021년도 가격공시를 위한 표준지는 전국 공시대상 토지 3천398만 필지 중에서 52만 필지를 선정했다. 이는 표준지의 용도지역별 분포를 개선하기 위해 2020년 보다 2만 필지 늘린 것이다.

표준지 공시지가에 대한 조사‧평가는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 66개 감정평가법인 및 감정평가사무소에서 총 1천180명의 감정평가사가 참여해 이뤄졌다.

표준지 공시지가(안)은 감정평가사의 시세 조사를 토대로 지난 11월 3일 발표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른 현실화율을 적용해 산정됐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 11.08%, 상업용 10.14%, 농경지 9.24%, 임야 8.46%, 공업용 7.56%로 나타났다. 상업용지의 경우 올해에 비해 상승폭이 커졌으나, 2019년 보다는 2.2%p 낮다.

표준지 공시지가(안)의 현실화율은 68.4%로써 2020년(65.5%) 대비 2.9%p 제고될 전망이며, 현실화 계획에 따른 목표 68.6%와 유사한 수준이다. 토지에 대한 재산세율은 주택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공시지가 변동에 따른 재산세액 변동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표준지 공시지가(안)은 소유자 및 지자체 의견청취,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2월1일 결정·공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는 개정된 '부동산공시법 시행령'에 따라 의견청취를 위한 공시지가(안)을 공동소유자 모두에게 개별 통지하고, 시‧군‧구청장 뿐 아니라 관할 시‧도지사의 의견도 듣도록 해 공시지가(안)에 대한 의견청취를 강화할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부동산부 이종수 기자입니다. 지식산업센터, 공구유통상가, 공장, 토지 등 산업 부동산 분야의 알토란 같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