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와 똑같은 모습의 디지털 쌍둥이를 구현해 미래에 닥칠 수 있는, 또는 상상하고 있는 설계가 구현되는지 확인하고, 실제 설계의 문제점과 보완점은 무엇인지 찾을 수 있다면 수많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쌍둥이, 즉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솔루션을 풍력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해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 벤틀리시스템즈와 함께 협업을 진행했다.

이 회사 장세영 상무는 “애저 디지털 트윈, IoT 허브, 그리고 벤틀리시스템즈의 아이트윈(iTwin) 디지털 시각화 모델을 통해 즉시 사용 가능한 빌딩 블록들을 활용하고 풍력발전기의 가상 모델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두산중공업은 풍력 발전소의 실제 출력을 예측하고 생산 최적화를 위한 미세 제어와 조정을 실현시키고 기존 설비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세대 풍력발전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두산중공업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 적용 사례를 비롯해 ‘애저 디지털트윈(Azure Digital Twins)’을 소개하는 온라인 기자간담회가 이달 4일, 마이크로소프트로 주관으로 진행됐다.
랜선을 통해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이제나(Jenna Lee) IoT & MR 아시아 기술 총괄 부문장은 “마이크로소프트는 전 세계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 여정을 함께 하는 파트너이다.”며 “두산중공업과 같은 디지털 트윈과 IoT 기술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국내외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과 사용자들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오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타 기업들과 협력해 디지털 트윈 컨소시엄을 공동 설립하고 파트너사들의 모범 사례를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애저 디지털 트윈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애저의 IoT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솔루션으로, 실제 환경과 자산을 디지털 환경에 접목해 사람, 장소, 사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IoT & MR 아태지역 기술 팀장은 “애저 디지털 트윈이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은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 걸쳐 디지털 피드백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기업은 애저 디지털 트윈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패턴을 추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환경을 설계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과정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 모델링 언어를 활용해 실시간 실행 환경을 IoT 또는 업무용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에서 시작된다. 이후 정확한 분석과 데이터베이스로의 출력 과정을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고 소개했다.
이 팀장은 “이 같은 로직 및 데이터 처리를 구축해 실시간 실행 환경을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을 통해 건물, 공장, 농장, 에너지 네트워크, 철도, 경기장 등 도시 전체를 모델링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